<재능 있는 내 아이, 어떻게 키울까>를 리뷰해주세요.
재능 있는 내 아이, 어떻게 키울까 - 꼬마 운동선수.학자.예술가를 위한 7단계 양육법
이언 토플러 외 지음, 김혜원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전에는 공부 잘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쳤지만 요즘은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며 자신의 꿈을 키워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부모의 생각도 많이 달라졌다는 생각이 든다. 게임을 잘해서 뭘 하겠냐는 시각은 프로 게이머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아이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걸 키워주는 것 또한 부모의 몫이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그것이 아이를 위한다는 명목목으로 자신이 대리만족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재능있는 내 아이 어떻게 키울까?'는 뛰어난 아이를 둔 부모가 좀더 특별한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침서이다. 눈에 띄는 천재성을 가진 아이를 키우는 것이 아니기에 이 책에서 거리감을 느끼지만 어느 분야에서건 최선을 다하고, 그 일을 좋아한다면 모두 재능 있는 아이들이란 생각을 가지고 있기에 좀더 관심을 갖고 읽게 되었다. 아이의 재능을 발견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재능을 키워주기 위해 부모가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어느 정도 학습해야 하는지, 어떤 선생을 만나야 하는지 등 고민해야 할 것들이 많다.

 

이 책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단어는 '대리 왜곡 성취(ABPD)'이다. 아이의 재능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실제는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기 위한 목적이 되어 버리는 것을 ABPD라고 한다. 아이가 나중에 그 일을 하고 싶지 않다고 하면 부모는 좌절을 한다. 아이가 되고 싶은 꿈이 아니라 자신의 목표였기에 그 상실감은 병을 일으킨다. 자신의 목표를 위해 아이를 육체적,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모습을 보면서 충격을 받았다. 익히 알고 있는 스포츠 선수에게 그런 과거가 있다는 것을 보면서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 뒤에는 얼마나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을지 아연실색하게 된다.

 

자녀의 재능을 키워 줄 7단계 프로그램을 학계, 예술계, 스포츠계의 시각에서 다뤄주고 있다. 필요한 자질이 무엇인지, 부모로서 갖춰야 할 마음가짐 등을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무엇보다 부모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고 있다. 아이를 지도할 선생님을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이다. 재능 있는 내 아이를 더욱 균형 있게 바로 잡아 주고, 아이가 가장 행복할 수 있는 길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 아이의 성장을 보면서 그 자체를 기뻐할 수 있는 부모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자신이 가진 재능으로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