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만 다가서 봐 세계아동문학상 수상작 8
이반 서덜 지음, 김옥수 옮김, 윤예지 그림 / 서울교육(와이즈아이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세계 아동 문학상 수상작인 ’한걸음만 다가서 봐’는 아이 책이긴 하지만 어른이 읽어도 좀 어렵게 느껴지는 구석이 있다. 편견인지는 모르지만 아이들은 천진난만하고, 순수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세상에 대한 두려움과 상대에 대해 배타적인 모습을 보이는 책 속 아이들의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다. 마치 엉킨 실타래를 보는 듯한 막막함으로 책을 읽게 되고 무언가 풀려고 하면 더욱 얽혀서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기분이 들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플루우먼 가문의 아이들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처럼 라이언 크리크 마을에 가서 고모댁에 머물러야 한다.다른 아이들처럼 크리크에 가게 된 조쉬는 일주일을 머물게 되지만 결코 짧지도, 쉽지도 않은 기간이다. 첫 만남부터 어긋나버린 마을 아이들과의 대면은 다양한 사건과 거짓말 그리고 무엇이 옳다 그르다 말할 수 없는 복잡함으로 일관된다. 해결이 될 듯 하면서도 되지 않고, 인물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것 또한 쉽지가 않다.

 

바로 그것이 사춘기의 미묘한 감성이고, 낯선 세상과 사람에 대응하는 아이들의 모습이다. 어른들이 중재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가 사춘기 시절 그 어떤 누구의 말도 귀에 들어 오지 않았던 때와 다를바가 없다. 언제나 자신의 감정이 우선이고,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미움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눈이 안보이는 사람들만 사는 세상에서는 눈 보이는 사람이 오히려 이상한 취급을 받듯이 우리만의 고정된 눈길로 상대를 바라보곤 한다.

 

나와 다른 사람들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무조건 배타적으로 대하기 보다는 한걸음 더 다가서서 상대를 바라보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좋다, 나쁘다를 구분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음이 있어야 한다. 바로 그런 마음을 우리 아이들이 가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좀더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여운을 주는 책이라서 아이와 함께 이야기 하며 그 생각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