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채식주의자' 보다 관심을 끌었던 단어는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였던건 나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실 한국어를 가지고 한국인이 쓴 소설이 international prize에서 win 할 수 있었는가를 곰곰히 생각하며 읽었다. 여느 고전이나 큰 상을 받았던 글들은 반드시 시대정신과 인간 근원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중점으로 접근했다.(감히 내가 이 책을 재평가하는 행위가 맨부커 위원들의 위상을 얼마나 퇴색시키는지를 알지만...) 역시나 이야기의 흐름과 전개 그리고 디테일의 색체까지 새로왔다. 물론 기분좋은 파스텔톤의 행복가득한 일상을 그리지는 않았다. 매우 bloody 하면서도 psychiatric 한 몽환적인 느낌까지...해설부분은 이해되지 않았다.

 일상의 우리는 가족들이나 타인과 얼마나 깊은 내면의 사유까지 공유하는가? 아무리 거침없는 부부사이의 배우자라고 해도 서로의 몽환적이고 선정적인 이해불가능한 꿈이나 성적 판타지를 이야기하는 것은 약간의 무리이다. 왜냐면 서로 그런 이야기의 원인이나 내면을 스스로의 문제와 결부시키려는 원천적인 심리적 이기심 때문에, 서로의 간절하고 깊은 이해보다는 다툼으로 마무리될 확률이 커보인다. 이런 사유의 공유에 대한 욕구, 나만의 치부스러운 상상에 대한 죄의식을 이 책을 통해 해소가능했다.

 '먹는다'는 생명유지본능을 거스르는 정신과학적 질병상태와 나락의 소용돌이로 떨어지는 작은 역사로 볼 수 있는 주변 인생의 결과에 대한 후회, 하지만 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마지막 희망...그 동앗줄은 바로 그들의 피붓이인 아이가 main events다. 폭력적인 가정에서의 성장기를 지낸 사람은 무의식에 잠재적 표현이라는 무서운 괴물을 묻어두고 살아가는데, 그 모습이 아주 위태로워 보인다. 한국사회에 이러한 경험을 공유하는 가정은 아주 많을테다. 그래서인지 더욱 공감이가고, 나 스스로를 깊게 이해하고 싶어진다. 화목한 가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낀다. 하지만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인간이 정신분열증과 동반한 거식증에 걸리거나 예술에 심취해 충동조절에 실패하는 개개인의 정신과학적 접근은 표면적이다. 그리고 그러한 환자들을 둘러싼 애착강한 주변인들의 망가지는 사회적 테투리 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정신세계 또한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저 그러한 절망적인 상황이라도 우리는 결국 '살아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서로의 배려와 깊은 이해, 순수하리만큼 진솔한 대화 그리고 사랑이 우리가 지속될 수 있는 근원의 힘이라 생각된다. 지금 내 주변의 가족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앞으로 정성을 다해 사랑하고싶다. 아마도 한강 작가기 나같은 독자들의 모습을 원하고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스스로 흐뭇해진다.

 가족과 소원한 당신. 이 책을 통해 좀더 주변을 사랑해 보세요. 강추합니다.

 

=메모=

특이하게도 이 책에서는 잔단한 문장과 대화들에서 드러나는 통찰력은 보이지 않으나 인물들의 행동과 짧은 생각들에서 느껴져, 그것을 문장으로 옮기는게 힘든 경험을 처음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