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 펄 벅이 들려주는 사랑과 인생의 지혜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1
펄 벅 지음, 하지연 옮김 / 책비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줄...

 일반적인 예의범절 소개를 시작으로 마지막 그 시대의 충경적인 피임약의 대중화로부터 파생되는 도덕률까지에 대한 신지식 여성으로써의 광범위한 일침까지

 

 펄벅의 이 책 바로 전에 공지영 작가의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를 읽었는데, 사뭇다른 느낌이 들었다. 전체적인 서술상의 공간적 무게와 뉘앙스가 청교도적인 전통 미국가정의 훈계방식이 느껴지는 것이었다. 물론 간단하게 말해서 고압적이고 완고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 뭔지 모를 느낌이란 심상치 않았다. 지금의 대한민국 같으면 경남안동의 훈육담당 대감같은 느낌 이랄까...그런데 여성이라는 작가의 입장에서 남성우월주의가 점차 남녀평등주의로 격변하는 시대를 고찰하는 상황이 또 다른 특별한 긴장감을 불러 일으킨다. 독자가 남자라서 긴장감이 컸다면, 만약 내가 여자였다면 반성과 뉘우침의 감정이 지배적이었을 것이다.

 크게 5가지의 컨텐츠 제목을 가지는데, '청춘','사랑과 결혼', '가정을꾸리는 지혜', '내가 꿈꾸는 여성', '진짜 삶으로 도약하기 위하여'로 구성되어진다. 글 전체에서 신지식인의 냉철하고도 무자비한 현실 통찰과 그 현상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이고 근거기반의 이유를 분명히 제시하면서 그 해결책(대안)을 제시해 준다. 일반적인 소설이나 에세이 였다면 문제만 잔뜩 던져놓고 해결은 독자가 하게끔 하였을 테지만, 명쾌한 대답을 주고 독자는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되게끔 편의(?)를 제공한다. 특히나 중국에서 유년시절을 보내고 미국으로 돌아온 작가의 사고는 특히 한-중-일 문화권의 독자에게 호소력이 클 것이다.

 

 특히, 결혼전 여성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비록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는 '청소년 권장도서'라고 선정하였지만.

 

==메모==

 우리는 자식들을 지나치게 사랑하는 경향이 있다. 좋은 옷을 입히고, 원하는 대로 고급차를 사주는 것은 자식들이 부모의 것이라는 자기 본위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일들로 여겨진다. 부모 자신의 일처럼 아이에 대한 자랑을 늘어놓고 한껏 도취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우리는 정작 자신의 아이를 한 인간으로, 혹은 개인으로 존중하지는 않는다.

 대다수의 청년들이 큰소리를 치고 허풍을 떨다가 툭하면 꽁무니를 빼는 것은 그 때문이다. 뿌리 깊은 열등감에 사로잡힌 그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신을 그런 식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자기가 속한 사회에서 아무런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으니 자존심이 없다고 나무랄 일이 아니다. 부모의 존중을 받으며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겨온 아이들은 건강한 자존심을 갖는다. 아이들이 성장해가는 데 이만큼 중요한 일은없다.

- p.45

 

 이렇게 가르치자. 인간 생활의 주류에 몸을 던지지 않으면 절대로 만족을 얻을 수 없다고, 자기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심에서 벗어나는 순간 진정한 평화와 행복을 맛볼 수 있다고, 의무란 거부감이나 따분함을 느끼는 일이 아니며, 도리어 의무를 수행함으로써 만족을 얻고 기쁨으로 마음이 밝아지면서 좀 더 활기찬 인생을 살 수 있다. 더불어 마음의 깊은 평안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 p.47

 

 그렇다. 나는 지금도 가족이 제일 소중하다고 믿고 있다. 언젠가 용기를 내어 아이들에게 그렇게 말하리라.

- p.136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오래전 어떤 사람은 말했다. "너 자신에게 충실하라"고. 임마누엘 칸트는 이 위대한 도덕률을 간결한 글로 정의했다. 즉, 무엇을 할 때 다른 사람이 그것을 하면 자기 자신도 기뻐할 수 있을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고 나서 행동에 옮기라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이 말은 책임을 뜻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책임, 자신의 행동에 대한일체의 모든 책임, 자기 자신 그리고 타인에게 미치는 결과에 대한 책임이 그것이다. 영원한 진리는 바로 이것이다.

- p.269 (개인적으로 나의 인생관으로 생각해오는 부분이고, 나는 이것에 격하게 동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