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뇌와 오른쪽 뇌의 성격을 받아들이는 문제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것은 어떤 상황이든 다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같은 양의 물이 든 컵을 보고도 물이 겨우 반밖에 안 찼다고 할 수도 있고, 반이나 찼다고 할 수도 있는 것처럼 말이다. 여러분이 분노와 좌절로 나를 대할 때, 나는 여러분의 분노를 그대로 받아 싸움을 걸 수도 있고 좌뇌, 아니면 여러분의 감정에 공감해 이해하는 마음으로 대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지만, 우리는 매 순간 어떻게 반응할지 무의식적으로 선택한다. 이때 미리 프로그래밍된 반응의 패턴 변연계에 익숙해져 자동 조정 장치에 우리의 삶을 맡기기가 쉽다. 나는 고차적 피질세포가 변연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더 많이 주목할수록 내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결정권이 많아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자동 회로가 어떤 선택을 내리는지 주시하면서 힘을 기르고 의식적으로 더 많은 선택을 내린다. 장기적으로는 내 삶의 모습을 내가 책임지려는 것이다.요즘 나는 나의 뇌에 매료되어 대부분의 시간을 ‘생각‘에 관해 생각하며 보낸다. 소크라테스가 말했듯이 ‘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아갈 가치가 없다.‘ 고통을 안겨주는 생각은 할 필요가 없다는 깨달음은 그 무엇보다 큰 힘이 되었다. 어떤 고통스런 생각을 하더라도 내가 자발적으로 그 감정 회로에 접속했다는 것을 알기만 하면 괜찮아진다. 결국 그 생각을 멈출 의식적인 힘이 내게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몸 상태나 심정이 어떻든 상관없이 언제든 오른쪽 의식으로 넘어가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마음을 선택할 수 있다. - P149
문제를 발견하고 또 그것을 해결하는 주체는 기계가 아니라 바로 인간이다. 앞으로 사회를 좀 더 살기좋게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은 우리들의 생각 그 자체에 대해서 이노베이션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중심의 발상으로 이노베이션을 하면서,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야 말로 디자인싱킹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에 해당된다. - P37
문제를 발견하고 또 그것을 해결하는 주체는 기계가 아니라 바로 인간이다. 앞으로 사회를 좀 더 살기좋게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은 우리들의 생각 그 자체에 대해서 이노베이션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중심의 발상으로 이노베이션을 하면서,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야 말로 디자인싱킹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에 해당된다.
고통은 세상에서 가장 현실적입니다. 일례로 국가는 고통을 느끼지 못하지요. 전쟁에서 패해도 괴로움을 느끼는 주제는 국가가 아니라 국민입니다. 기업도 고통을 느끼지 못합니다. 거액의 손실액이 발생하면 기업이 아니라 그 조직에 속한 경영자나 사원이 초조해합니다. - P18
위빠사나는 다른 목표, 자각을 추구한다. 이 과정에서 집중과 이완은 자각을 위한 필수 부속물이다. 그것은 필요한 선행 요소이자 편리한 도구, 유익한 부산물이다. 그러나 그것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 P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