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사회의 가치를 존중하는 사람, 기존 질서 위에서 가족을 위해 성실하게 사는 사람도 부르주아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을 물질과의 관계로 정의한다면 부르주아는 물질을 삶의

중심에 두는 ‘물질주의‘ 계급이다. 여기서 물질이 반드시 돈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신분, 조직, 경쟁, 근면 등 물질주의 사회를 지탱하는 가치도 포

함된다. 부르주아 계급의 핵심 계층은 기업가와 자본가다.


20 관료화된 자본주의의 부르주아가 선호하는 일의 방식은 효율성과 정형

하다. 경영자는 조직의 성과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작업 방식을 정형

화한다. 직원들도 직무 분석(Job Description), 업무분장 등 사전에 합의된 규율에 따라 예측 가능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21 다수의 부르주아는 노력과 능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을 정의

롭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의 보상은 물질적인 측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부르주아는 물질적 성공을 정신적, 윤리적으로 정당화한다.

23 부르주아 소비는 명품과 고급 상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리가 소비자

덕목으로 이해하는 가성비도 부르주아 소비 행태로 분류된다. 상품이 생

산되는 과정이나 상품과 나의 가치관의 관계보다는 상품의 가격과 품질에

집중하여 평가하고 선택하는 소비는 기업과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물

질주의 가치에 부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