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The Last Samurai (2003)

감독 Edward Zwick

이 영화는 별로 보고 싶지 않았다. 이것은 나의 편견일지도 모르지만 사무라이 하면 떠오르는 것은 위로 틀어올린 머리와 할복, 칼싸움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국토를 침략하고 우리 조상들을 죽인 그들을 미화한 영화는 별로 보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영화는 생각보다 재미있었고 두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이었지만 지루하지 않았다. 나의 예상대로 영화 속에서 사무라이는 굉장히 멋있는 사람들로 그려졌다. 그러나 나는 영화 속 사무라이들의 멋진 모습을 그대로 믿을 수 없다. 믿고 싶지 않은지도 모른다.

미국의 영화를 보면 대부분 일본인을 좋게 그리지 않는 듯 했다. 미국인들이 자신들 외에 좋게 그리는 민족이 그다지 많은 것 같지는 않다. 동양인이나 흑인들은 백인들의 총에 많이 맞아죽었다. 나는 어느새 그것에 익숙해졌고 이 영화처럼 일본인, 동양인을 좋게 그린 영화는 낯설었다. 일본인에 대한 편견, 미움에도 불구하고 같은 동양인인 일본인을 좋게 그린 영화는 나의 기분을 어느정도 좋게 해준 것이 사실이다. 

민족, 국가를 떠나 이런 싸우는 영화를 보면 왜 우리는 전쟁을 해야하며, 우리가 같은 민족, 같은 나라라고 하는 사람들끼리도 왜 끊임없이 싸워야하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어떻게 생각하면 국가라는 것, 민족이라는 것은 인간이 임의적으로 나눈 것에 불과한데, 서로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자신들의 탐욕을 채우기 위해 인간은 인간을 죽이고 죽임을 당한다. 미국인은 인디언을 죽이고 일본에서는 같은 일본인끼리 죽인다. 그리고 미국은 무기를 팔아서 그것을 돕고...이런 세계에서는 옳고 그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느 쪽이 힘이 센가, 어느 쪽이 더 많은 무기와 병력을 가지고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어쩌면 세계는 늘 그렇게 강한 자만이 지배를 해왔는지도 모르겠다. 

이 영화를 보면서 일본인들은 이것을 어떻게 볼까하는 생각을 했다. 톰 크루즈라는 유명한 배우가 자신들의 나라에 동화되는 역할을 맡은 것만으로도 좋아할까...게다가 사무라이를 의리있고 마지막까지 포기를 모르는 멋진 사람들로 그렸으니 어느 정도 만족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일본의 이야기를 다루었지만 전형적인 미국 영화라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멋진 톰 크루즈가 나오니 더욱더 영화가 재미있었던 것 같다. 그의 매력을 또한번 발견할 수 있는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ter Pan (2003)

감독 P.J. Hogan

참 예쁜 영화였다. 피터팬과 웬디가 하늘을 나는 장면, 구름위에 앉는 장면 등등...정말로 동화 속의 장면들처럼 예쁘고 동화적인 화면과 내용이었다.

더 이상 자라고 싶지 않은 피터팬, 그리고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웬디...어릴때는 나도 어서 빨리 어른이 되었으면 하고 바랐다. 그러나 지금은 다시 어린 시절로 돌아간다면 하고 바란다. 내가 가졌던 동심은 이제 기억도 나지 않지만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 그 순수한 마음을 다시 한번 가지고 싶다. 그러나 어느새 나는 그런 마음을 잃어버린 듯 하고 동화 속에 나오는 네버랜드로는 이미 갈 수 없는 나이가 되어버렸다. 나이를 먹으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법, 세상에 내가 맞추어가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나의 순수한 마음, 자신감, 동심은 잃어간다. 어쩌면 마음에 미움만 가득찬 후크가 어른들의 모습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는 또한 나의 모습이기도 하고...

영화를 보면서 나도 네버랜드로 갈 수 있다면 그 곳에 남아 평생 어른이 되지 않고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내가 아이였을 때, 그 곳에 갔다면 나는 어른이 되는 쪽을 택했을 것이다. 나는 항상 나이를 먹어서 어른이 되는 걸 꿈꿔왔으니...그러나 지금은 그것이 두렵다. 세상에서 나를 드러내야하는 것, 세상에 뛰어들어야 하는 것이 두렵기만 하다. 나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누군가가 자꾸 나를 세상 속으로 떠미는 것만 같다.

행복한 생각만으로 하늘을 날 수 있고 재미난 이야기가 있는 곳, 네버랜드로 가고 싶다. 그러나 그런 곳이 있다는 믿음도 이제는 쉽게 가질 수 없다. 지금의 나는 많은 것을 의심하고 믿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어딘가에 있을 내 마음 속의 네버랜드, 행복한 세상, 동심을 잃지 않는 곳은 남겨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질투는 나의 힘 (2002)

감독 박찬옥

나는 항상 화려한 삶을 꿈꾼다. 사회적인 성공을 원하고 멋진 사람과 사랑을 하는 것도 꿈꾼다. 그러나 나의 삶은 결코 화려하지도, 앞으로 화려해질 것 같지도 않다. 겨우겨우 일상을 이어나가는 보통사람, 그것이 현재와 미래의 내 모습일 것이다.

이 영화는 그냥 우리 주변의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것처럼 재벌과의 사랑도 아니고 신분상승같은 건 일어나지도 않는다. 항상 실수를 하고 실패를 하는 우리 모습...

사랑하는 사람에게 차이고 자신의 애인이 좋아했던 유부남과 친해지는 주인공, 박해일이다. 박해일이라는 배우의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가 나오는 영화는 처음 보았다. 그렇게 잘생긴 얼굴 같지도 않지만 매력이 넘치는 배우인 것 같다. 사랑하는 여자를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는 사람, 자신감도 많지 않고, 자신의 꿈을 이루지도 못하는 사람...나의 모습이고 보통 사람들의 모습일 것이다. 그리고 그 역할에 이 배우는 꽤 잘 어울린다.

결국은 이렇게, 특별하지 않게 삶을 이어나갈 나, 우리들...결코 화려하진 않지만 그것이 불행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많은 꿈을 가지고 있지만 그 꿈을 다 이룰 수 없을 것이다.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실망을 하게 되더라도 우리는 우리의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화려하거나 큰 성공을 하지 않더라도 나와 같은 보통 사람들을 만나고 나의 일상을 이어나가는 것, 아픔과 기쁨을 함께 맛보는 것 이것도 행복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assed off (1996)

감독 Mark Herman

음악에 관한 영화는 참 많다. 음악가의 삶을 다룬 영화도 셀 수 없이 많고, 악기가 소재가 된 영화도 많다. 이 영화는 금관악기를 부는 밴드에 관한 이야기다. (brass라는 단어가 금관악기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하지만 밴드의 이야기와 함께 그들이 일하는 탄광의 폐광에 관한 이야기도 있다. 이 영화 속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이 없어지고 생계를 꾸려나가기도 쉽지 않지만 결국 밴드의 우승을 이끌어 낸다. 그러나 자신들이 일할 곳은 이미 문을 닫았다. 폐광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투표에서는 많은 퇴직금을 받는 쪽으로 향한다. 우리 사회에서 노동자들, 약자들의 모습일 것이다. 생업을 잃었을 때 음악은 그들에게 사치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새 악기를 사고 결국 우승도 한다. 그들의 우승이 폐광으로 인해 빛을 다소 잃었다고 하더라도 음악은 그들에게 사치가 아닌 삶의 일부인 것이다. 요즘에는 돈을 많이 벌면 존경받고 인정받는 세상이다. 그래서 돈을 많이 버는 일 외에는 별로 눈을 돌리지도, 생각지도 않는 것 같다. 더구나 남들이 인정해 주지 않는 일이라면 더욱...그러나 돈을 벌고 생계를 이어나가는 것 외에도 우리 삶에는 필요한 것들이 많다고 생각된다. 그런 것들이 우리 삶을 좀 더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2002)

감독  김인식

영화의 제목처럼 길이 참 많이 나온다. 주인공들은 길을 따라 이동한다. 그 길의 끝은 어디인지, 그 길을 따라가면 좀 더 나아질 수 있는지 알지 못한채...

인터넷으로 보니 화질이 별로 좋지 않았다. 고화질이라고 써있었건만...그래도 공짜니...게다가 별로 끊기지도 않아서 볼만했다.

사실 좀 충격적인 영화였다. 처음에 노숙자가 나오는 부분도 좀 놀라웠고 대식과 석원, 일주의 모습들도 충격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이런 생각이 든다. 세상은 내가 모르는 사람들, 내가 모르는 것들이 참 많다는 생각... 갈 곳이 없는 사람들, 세상에서 이해받지 못하는 사람들, 이들에 비하면 내가 살고 있는 이 곳과 내가 누리고 있는 이 안락함은 천국에 비유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알지 못하고 안다고 해도 받아들일 수 없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모습은 우리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우리는 서로 엇갈리는 감정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석원이 대식을 다시 찾아갔을 때는 이미 늦어버린 것처럼 우리는 항상 감정들을 미처 알지 못하고 때늦은 후회를 하게 되는 것 같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삶을 이어나가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참 힘들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지금 가는 길을 계속 가면 희망이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희망을 보는 것은 무척이나 힘든 일인 것 같다. 어쩌면 영화 속 대사처럼 그 길 끝에 아무것도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 길을 계속 가야한다. 그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으므로...끝에 아무것도 없을지라도 끝까지 가보아야하는 것이다. 길이 끝나면 내가 또 길을 만들 수도 있는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