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립과 자기통제를 키우는 ABA 교육법 : 사춘기편 - 자폐 스펙트럼 사춘기 아이를 위한 생활자립기술 36
이노우에 마사히코 지음, 전선진 그림, 최정인 옮김, 민정윤 감수 / 마음책방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폐 스펙트럼 사춘기 아이를 위한 생활자립기술 36, 사회적 자립과 자기통제를 키우는 ABA교육법?


그럼 아동, 유아에 대한 책도 있는가 싶어서 검색을 해 봤는데, 시리즈 격으로 <금지하지 않고 행동 수정하는 ABA육아법>책이 있었다.

시중에 많이 없는 대상군부터 쓴 시리즈물의 첫 결과물일까?
이 책은 영아, 유아, 아동기에 집중되어 있는 ABA 교육법에 벗어나,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에도 적용하도록 하여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ABA(Applied Behavior Analysis)는 모든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지만 특히 자폐 스펙트럼과 같은 발달장애 치료에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인간의 어떤 행동이 어떤 이유로 일어나는지를 밝히고, 이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유용하고 바람직한 행동은 늘리고 해롭거나 학습에 방해가 되는 행동은 감소시키려고 한다. 이를 위해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ABC 분석이다.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행동(B)를 기록하는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관찰의 형태로서, 분석하려는 문제행동 앞의 선행사건(A)과 행동 후의 결과(C)를 기록한다.

ABA는 모든 과제를 작은 단위로 최대한 잘게 쪼개어 학습시키는 체계적이고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이 아니더라도 지금 키우고 있는 아이에게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 관심있게 보았다.

양육이나 교육의 목표에 대해서 나와 있었는데, 지금 키우고 있는 6세 별이에 대해서도 생각케 했다. "학습의 최종 목표는 교실이 아닌 사회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는 데 있고", 실제로 가정이나 사회에 그 기술을 사용함을 통해 "생활의 질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는 말이 지금 육아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했다. 물론 발달장애인이기 때문에 더욱 실제적인 기술이 중요한 것이긴 하지만, 비장애인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10년이 넘게 영어를 배워도 외국인과 대화 한번 못하는 것이 학습 목표일 수는 없다. 여하튼 주변의 말에 흔들리지 말고 아이의 자립과 인성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자고 책 보며 혼자 다짐해 봤다.

한번씩 뒤적거리며 써 먹어야 봐야 겠다. 실제적인 내용과 함께 그림도 있어,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생리나 자위같은 내용도 다룬다.

세상의 모든 부모들이여, 화이팅!!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게 자란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사회적자립과자기통제를키우는ABA교육법 #자녀교육 #자폐스펙트럼생활자립기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