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끌림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마다 살아온 과정이 다르고, 겪었던 경험이 다르며, 평소에 품고있던 생각들과 현재 처한 현실이 다르기 때문에 한 권의 책이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내용의 감동을 주진 않을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엔 입맛에 따라서 맛있는 부분만 도려먹고 맛없는 부분은 뱉어내는 식의 독서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에서 제가 느꼈던 감정과 생각들은 극히 개인적인 생각일 수 있고, 작가가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이 글에선 제가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책의 맛있었던 부분에 대한 이야기만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세라 워터스『끌림』은 마가릿과 셀리나라는 두 여인의 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빅토리아 시대 부유한 집안의 숙녀로 극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던 마가릿은 밀뱅크라는 교도소에 수감된 여죄수들을 만나며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들에게 세상의 관심을 보임으로서 그들을 치유하고 동시에 자신을 치유하려 합니다. 그러다 묘한 이미지의 셀리나라는 여죄수를 만나게 됩니다. 셀리나가 밀뱅크에 수감된 이유는 사기와 살인이었습니다. 그녀는 강신술의 영매로 영혼들을 불러내어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는 일을 했습니다. 그러다 피터 퀵이라고 자신을 지배하던 영혼이 의뢰인을 거칠게 다루며 발생한 한 사건에 휘말려 유죄판결을 받고 밀뱅크에 수감되어 있었습니다. 



    밀뱅크 방문을 통해 마가릿은 감옥의 다른 죄수들에게선 전혀 느낄 수 없었던 묘한 끌림을 셀리나에게서 느낍니다. 그런 끌림은 그녀가 그동안 처해있었던 현실이 너무나 외로웠기 때문에 충동적으로 생겨난 감정일 수도 있고, 왠지 감옥에 갖혀 있던 셀리나의 처지가 억압받고 구속된 자신의 처지와 비슷하다고 느껴 동질감을 통해 생겨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영혼과 대화한다는 셀레나의 신비로운 모습에 이끌린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과거부터 동성에게 자주 끌렸던 터라 평소에 갖고 있던 이상형에 꼭 맞아떨어진 셀리나를 만나면서 두 눈에 콩깍지가 씌여져버린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소설은 동성애를 다루면서 외로움이 가져온 관계에 대한 갈망과 자유를 열망하는 두 여인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을 그리려는 듯해 보였습니다. 교도소의 높은 담장이 한편의 시와 같던 그녀들의 사랑에 표면적 장애물이 될 것이고, 또한 사회적으로 반하는 동성애에 대한 인식을 이겨내야 한다는 힘겨운 사랑을 그리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그런데 소설이 꼭 그렇게 충분히 예상 가능한 방향으로 흘러가진 않았습니다. 소설은 동성애를 소재로 삼고있긴 했지만 딱히 동성애에 대한 깊이있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진 않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런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었다면 꽤 지루한 소설이 되었을텐데 정말로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반면 평범할 수도 있고 지루할 수도 있는 그녀들의 일기가 나름의 재미를 얻었던 것은 미스터리한 소재 때문이었습니다. 강신술과 영매, 그리고 영혼이 관련된 과거의 사건에 대한 진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이 이야기의 끝은 그녀들이 계획하고 원하던 사랑을 결국 어떤 모습으로 보여줄 것인가, 이런 것들이 소설을 읽는 사람으로하여금 강한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끌림들은, 꽤 오래되어 낡아보였던 고리타분해 보일 소설의 문체를 극복해나가며 계속해서 소설을 읽어 나갈 수 있게 한 힘이 되어줬습니다.



    한편 외로움과 우울증이 자살 시도로 이어지고, 때론 관심이 오히려 상처가 되기도 하며, 관계에 대한 갈망으로 인한 착각으로 단순한 끌림을 사랑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점이 굉장히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물론 소설에서 내비쳤던 아픔을 전적으로 공감하고 이해할 순 없겠지만, 스스로는 미처 눈치채지 못했던 관계에 대한 오해가 어쩌면 누군가에게 큰 상처가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생각에까지 이르니 무언가 말로 표현할 수 없게 만들 애매한 미안함이 생겼습니다. 사기치려던 의도로 다가간 것은 아니지만 어쩌다보니 사기꾼이 되어버리기도 하고, 존재조차 알 수 없었던 감정들에 대한 책임을 느껴야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니 말입니다. 그렇다고 『끌림』이 그런 이야기들을 했던 것은 아닙니다. 그저 소설을 읽어내려가던 중에 문득 그런 생각들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을 향한 관심에 잘 이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단 몇번만 찍어도 넘어가버릴 나무가 있다면 그 나무가 바로 저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저 역시 사람들의 관심에 잘 휘둘리는 편입니다. 그래서 그런 관심에 의해 쉽게 상처받기도 하고, 혹은 혼자서 그러했다고 여기는 오해들로 인해 아파하곤 합니다. 안에서 우러난 순수한 끌림보다 외로움으로 인해 외부적으로 생겨난 끌림은 대개 좋지않은 결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래서 생겨난 아픔은 이후의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까지 부정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확인사살하듯 사람을 두번 죽일 상처될 말과 행동, 그리고 배신은 다시는 그사람이 일어서지 못할 만큼의 큰 상처가 됩니다. 그래서 소설 속의 그녀는 내일을 도저히 살 수 없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오늘 도서관에는 노처녀들이 많았다. 내가 기억하는 것보다 분명히 더 많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노처녀는 유령과 같아서 함께 있어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그리고 자신도 노처녀가 되어야만 주위에 노처녀들이 있는 걸 알아차릴 수가 있다. (90쪽)



    하지만 그래도, 하지만 그래도……. 오, 뭔가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끔직한 느낌이 들었으며, 그 생각을 하면 지금도 몸이 오싹하다. (269쪽)



    동생에게 남편이 있어서가 아니에요. 그건 절대 아니에요! 내가 부러운 건, 음, 뭐라고 말해야 하나, 동생은 집을 떠났어요. 그리고 나는 남았고요. 완전히 정체된 상태로 말이죠. (296쪽)



    언제부터 당신이 그런 사회의 일원인 걸 좋아했어요? 사회가 무슨 생각을 하든 당신이 왜 신경을 쓰지요? 우리는 그 모든 것에서 떨어져 지낼 수 있는 곳을 찾을거예요. 우리가 있는 그대로 살 수 있는 장소를 찾을 수 있어요. 제가 하게끔 되어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곳을……. (390쪽)



    내 영혼이 나를 떠났다. 나의 영혼이 나를 떠나 그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느꼈다. (398쪽)



 

 


 

 

크롱의 혼자놀기 : http://ionsupply.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