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너머로 달리는 말
김훈 지음 / 파람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기라는 취미를 가진 후 여러 장르, 여러 작가분들의 책들을 읽었습니다. 그런 시간들이 쌓인 후 어떤 책들은 다른 이유가 아닌 그 작가가 적었다는 이유만으로 읽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저에게 김훈 작가님은 그런 작가님 중 한 분입니다. 작가님의 여러 소설과 산문집을 읽으며 진중하고 무거운 한글의 아름다움을 느꼈고 역사 속 인물의 고뇌와 갈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 이야기들 속에서 지낸 날들이 제법 있었는데 이렇게 새로운 책이 나오는 줄 모르고 있다 갑작스레 작가님의 책이라는 이유만으로 이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달 너머로 달리는 말>

 

책의 책명을 보고 저는 지레짐작했습니다. 작가님의 소설들 중 많은 작품이 우리나라의 과거 시대의 이야기를 다룬 것이 많았고 그 이야기들은 큰 사랑을 받았기에 이 책도 그런 내용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저는 이 책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도 없이 이 책을 읽어보았는데 책의 이야기가 저의 상상과는 다르게 진행되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은 말(馬)과 나라, 말과 인간 그리고 말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초와 단이라는 나라가 나오게 되고 이 두 나라는 나하라는 강을 사이에 두고 북과 남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두나라는 그 풍습이나 기질 또한 매우 달랐는데 초라는 나라는 유목의 생활을 하며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야생의 민족과 같은 분위기인데 반해 단이라는 나라는 성을 세우고 농사를 짓고 문자로 기록을 남기는 서로 상반되는 두 문명을 그려냅니다. 이 극단으로 갈리는 두 나라의 배경에는 작가님의 의도가 들어있을 텐데 그 두 문명의 우열을 가리기는 어려웠습니다. 이 두 문명은 책에서 충돌하게 됩니다. 초가 나하를 건너 단으로 쳐들어 가고 지독하고 치열한 전쟁이 시작됩니다. 이 전쟁 속에서 각 나라를 대표하는 명마들의 이야기도 함께 어우러집니다. 초나라의 왕자를 자신의 등에 태운 '토하', 단나라의 야전 군독 황을 등에 태운 '야백'. 이 두 마리의 말 또한 인간들의 싸움에 휘말리게 되고 말의 시선으로 보는 전쟁의 상황, 인간들의 모습은 의문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렇게 이 전쟁으로 인해 두 말의 운명 또한 달라지게 됩니다.

책을 보면서 우리와 다르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다르다는 것. 다름은 인정하기 어렵고 두렵고 적의를 가지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 적의와 공포는 우리를 어리석은 선택으로 몰고 가고 이렇게 역사는 이어져 오고 또 이어져 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나름의 문명을 가졌다는 두 나라의 전쟁에서 문명과는 전혀 다른 야만의 힘을 보며 문명과 야만은 멀지 않음을 느낍니다.

 

책을 다 읽고 이 책에 대해 조금 검색을 해보니 이 책은 역사적인 소재로 이야기를 쓴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가상의 세계를 창조해낸 소설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김훈 작가님 특유의 진중한 문체에 중국의 옛 역사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기도 했습니다. 단나라의 역사서 '단사', 초나라의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후대에 쓰인) '시원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이어가는 부분도 위의 생각을 했던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책의 중간중간에는 말(馬)과 말(言)이라는 단어들이 함께 나와 운율이 느껴지는 문장들이 있었는데 그런 문장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그리고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책의 제일 마지막에 있는 작가님의 말이었습니다.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 감상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