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리어 왕 - 1608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한우리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셰익스피어 4대 비극'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습니다. 그 책들이 어떤 책인지는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읽어보지는 못했네요. 최근 <햄릿>을 읽어보고 4대 비극이라는 작품들에 관심이 생겨 두 번째로 <리어 왕>을 읽어봅니다. <리어 왕>을 읽고 나니 <오셀로>와 <맥베스>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사뭇 궁금해졌습니다.

 

 

리어 왕에게는 3명의 딸이 있습니다. 그 딸들의 이름은 거너릴, 리건, 코딜리어입니다. 왕은 나이가 들어 이 땅의 왕권들을 딸들에게 나누어주려 합니다. 딸들에게 왕권을 나누어주고 자신은 편안히 돌봄을 받으며 여생을 보내려는 생각이었습니다. 딸들에게 리어 왕은 묻습니다. "너희들 중 누가 가장 짐을 사랑한다 말하겠느냐?" 거너릴과 리건은 갖은 미사여구를 붙여 왕을 사랑한다 말하지만 코딜리어는 그런 말들보다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상투적인 표현은 하지 않고 그저 "할 말이 없습니다. 폐하."라고 말하게 되고 왕은 노려움에 코딜리어에게 일체의 땅이나 재산, 권력들을 나누어주지 않고 프랑스 왕에게 시집을 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왕에 대한 사랑을 그렇게 아름답게 이야기하던 딸, 거너릴과 리건은 왕에게 받을 것을 다 받은지라 왕을 홀대하고 무시하기 시작하고 왕은 분노에 휩싸이며 자신의 실수와 어리석음을 후회하고 자책하며 정신을 놓게 되며 이야기는 흘러갑니다.

큰 줄기의 하나의 이야기가 이 이야기이고 <리어 왕>에는 다른 작은 이야기들도 함께 어우러져 이 이야기를 완성합니다. 하나는 글로스터의 아들 에드거와 서자 에드먼드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다른 이야기를 하나 더 뽑아보자면 충신 켄트에 대한 이야기도 따로 떼어낼 수 있을 것 같네요. 이 이야기들이 하나의 큰 스토리에 묶여 어우러지고 섞여 이 비극을 완성하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보며 아름다운 말의 매혹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 생각을 해봅니다. 리어 왕의 경우 그 땅의 배분을 그런 질문 하나로 했다는 것이 어찌보면 순진하고 한편으로는 참 어리석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네요. 왕이라는 자리를 오랫동안 지켜왔던 그라도 딸들에 대한 믿음에 어떤 의심이 풀어진 것인가도 싶습니다. 충신의 켄트를 내치고 아첨과 간신들에 속아 큰 어려움과 고난을 겪은 리어 왕에게는 그때 그 선택의 순간을 다시 되돌리고 싶을 것 같기도 합니다.

큰 어려움에 처한 왕에게 코딜리어가 손을 내밉니다. 온간 미사여구를 붙여 아버지인 왕을 사랑한다던 딸들은 왕을 버렸고, 할 말이 없다던 코딜리어는 왕을 찾아와 도움의 손길을 내밉니다. 진실된 눈물과 함께 말이지요. 그 마음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지 생각해봅니다. 그럼 이 고초를 왕이 겪지 않았을지 모를 일이지요. 저는 코딜리어가 왕을 구해 그 언니들에게 복수를 하며 이야기가 끝이 나는 것이 아닐까 예상을 했는데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마무리되었네요. 이 이야기가 왜 비극이라고 하는지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1608년 처음 출판된 이야기라고 하지만 지금 읽어도 전혀 어색함 없이 재밌게 읽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영화 <광해>와 같이 최근 본 책이나 영화들도 떠오르는 것도 신기한 체험이었네요. 인간의 욕심과 어리석음, 그리고 아름다운 말보다는 그 마음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교훈 아닌 교훈을 얻어 가는 책이었습니다. 책의 표지는 이 책의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이라고 하던데 그래서 이 책 자체로도 꽤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책의 띠지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었는데 딱 그 말이 맞는 이야기였습니다.

'삶의 비극과 인간의 본질을 찾아가는 여정.'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 감상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