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4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가 이 책을 알게 된 것은 유시민 작가님의 책 <청춘의 독서>라는 책을 보고 이 책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 책에서 <유한계급론>의 소개가 무척 신비하고도 매력적이게 보여  개인적으로 무척 인상적이어서 기억에 오래 남아있었는데 이렇게 기회가 되어 읽어보았습니다. <청춘의 독서>에서 이 책 <유한계급론>을 소개한 글을 잠깐 아래에 첨부하여 보겠습니다.


 

  돈을 버는 것은, 경제학 용어로 말하면, 육체적 심리적 만족과 행복을 얻는 데 필요한 생활 자료를 취득하기 위한 활동이다. 이것이 주류 경제학자들의 대답이다. 그런데 베블런은 전혀 다른 견해를 제출했다. 그는 이것이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해 발버둥 치는 가난한 하층계급에게나 들어맞는 이론이라고 했다. 베블런에 따르면 사람들이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돈으로 다른 사람을 이기려고 하는 경쟁심 때문이다.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해 소비함으로써 만족을 얻는 데 돈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남들보다 더 많은 부를 소유하는 것이 돈을 버는 목적이다. 돈은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것이다.

(청춘의 독서 / 유시민 / p. 224)


 

 이 책은 책명인 유한계급이라는 어떤 지위의 사람들은 우리가 흔히 아는 소비 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소비를 나타낸다는 것이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그들은 '사치' 혹은 '사치세'라고 하여 돈의 소비를 생존과  의식주 해결에 소비하는 것을 뛰어넘어 남들에게 과시하거나 보여주기 위해 돈을 소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죠. 그런 한 예로 책에서는 의복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저는 이 책의 의복의 발달 상황을 보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옷에서도 이런 역사와 이야기가 있구나 하는 생각에 조금 놀라기도 하였습니다. 풍성하고 화려한 옷들은 자신이 노동을 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그 또한 과시하기 위한 소비의 행태 중 하나로 표현됩니다.

예전 뉴스에서 보았던 우리나라의 뉴스가 있었는데 명품 가게에서는 가격을 비싸게 측정할수록 잘 팔린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일반 서민인 저로서는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그런 것들도 이 책에 나오는 유한계급의 소비의 한 형태의 예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들의 소비에는 그들의 소비 그래프나 방식이 있는 것이지요.

 책을 내용의 한 가지만을 아주 간단히 적어놓았을 뿐 이 책은 생각보다 내용이 깊어 저에게는 조금 어려운 느낌을 받았습니다. 책은 읽는 사람의 수준이나 깊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양이 달라진다고 하는데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좀 더 천천히 다시 한 번 읽어보거나 시간이 좀 더 지난 후 다시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네요. 그래도 이 책의 뒷부분에는 [해제 / 이종인] 부분이 있어 아주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이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도 좋았지만 이 책에 대한 당시의 평가나 그 시대의 배경에 대한 설명 등이 이 책의 이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 듯하네요. 아래에 글이 저는 무척 인상에 남았는데 경제학 책이라고 하지만 저 또한 경제학 책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지 못했던 점에서 그런 공감이 더해졌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소비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한 번쯤 읽어보는 것도 좋은 고전이라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여러 논평가들은 이 책을 학술적인 저서라기보다 미국 사회의 신흥 자본가 계급을 풍자하는 일종의 문학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학술적이든 문학적이든 이 책에 나타난 베블런의 박학다식함과 독창적인 통찰력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p. 406)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 감상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