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문화과학 이론신서 70
강내희 지음 / 문화과학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론의 생산위주 분석에서 m-c-m은 신자유주의 금융중심경제에서 기존의 m-c-m의 압축형태인 m-m'로 극적 전환을 한다. 금융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치 이념과 함께 그나마 기존의 수정자본주의 시공간에 잔존한 노동의 헤게모니 마져 철저 금융자본화시킨다.  

 

몇 가지 인상적인 부분을 정리해 본다.

 

자본의 공간적 조정을 위해 고정자본의 순환과 소비기금의 형성을 요청한다는 것, 329

기실 인즉 화폐자본에 대한 수요와 공급 그 모두 정부 또는 국가에서 이뤄짐을 보여주고 있는 현재의 경제정책들을 보면 자본축적의 강화를 위한 유효수효의 확대, 그리고 금융화 대출자산화 등을 통한 소비기금의 조성이 그 주요한 국가정책이 되고 있다.

고정자본과 소비기금으로 이뤄지는 건조환경을 조성하려면 의제자본과 신용체계가 필요하다는 기본적으로 공간의 정치경제학적 문제의식이다. 329-330


신용체계는 개별 자본가들의 다양한 활동들을 조정하기 위한 일종의 중앙신경체계이다.


장기이자율이 주어진 생산업종에서 얻게되는 기업의 이윤보다 상당히 높다면, 산업자본가들은 그들이 가지는 잉여가 어떠한 것이든 간에 이를 재투자하기 보다는 화폐시장에 투입하고자 하는 유인을 받게 된다.


자본주의와 신자유중의 극복을 위해 가라타니의  공동체 중심의 호헤적 교환, 국가 중심의 약탈과 재분배, 시장중심의 자본주의적 교환 그리고 가라타니가 제안한 연합의 교환을 해방의 기획으로 제안한다.  549


국가 자본 노동   자본을 위해 작동하는 국가와 노동을  역전시켜 문화사회를 위한 필요노동의 관리와  사회를 위한 국가와 자본...

가치 있는 삶을 위한 경제가 작동하는 550

 관리를 위한 권력의 쟁취와 일상에서의 탈 자본적인 새로운 감각과 그실행을 대중화하기.


유머러스한 사람이 되자. 자본주의를 빈정대주자. 자본주의는 이성적인 것이 아니라 수준이 낮은 것이다. 놀려주자.  웃으며 변하게.


강내희 씨는 이 책을 통해 문화사회 건설을 위해 현재의 신자유주의를 문화정치경제라는 틀로써 비판 분석하는데, 이는 사실상 앙리 르페브르의 재생산조건과 같은 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앙리 르페브르, 현대세계의 일상성 2005  이현재 재생산조건으로서의 일상에 나타난 여성빈곤의 세가지 측면에서 재인용.  다른 삶은 가능한가 한울 2015

자본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일상이 재생산되는 조건들로써 충분히 설명될 수 있겠다. 반복적인 분석방법이 약간은 지루했다. 그러나 그러한 틀이 있기에 디테일한 비판이 가능하기도 할 듯하다.

문화사회를 위한 경제적 비판서로써 큰 저작물을 남기신 영문학연구자에게 존경을 우선 표한다.


책 전반에서 신자유주의 기원인 자유주의의 한계를 얘기하는데,  네그리 등에서 자유주의를 진보적으로 놓고 있어 자유주의와 네그리의 자유주의를 구분 분석할 필요를 느낀다. 비판받고 있는 신자유주의 그 원천인 자유주의란 이념을 어떻게 전복적으로 전환 존속 시킬 수 있는 수가 있지 않을까? 고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