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동 동원 동의

파시즘의 기반이 일탈된 근대가 아니라 근대의 다른 얼굴이었다란  (27) 주장으로 대표되는 임지현의 대중독재이론은 대중독재이론의 독자성을 지탱해주는 이야기라기 보다는 파시즘이 근대의 일반화된 형태라는 주장으로 근대주의 자체에 내재해 있는 전제주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근대주의 독재로 환원할 수 있지 않을까?  근대주의는 그 형식적 민주주의 때문에 독재로 전환될 소지가 아주 많은 그러한.  근대는 대중의 주체성의 미성숙으로 형식적 민주주의의 한계에 갇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전체적으로 임지현은 대중의 스스로 창발성으로 독재를 만들어내는 이론을 적용하고 싶어하지만, 권력자들에게 선동 선전 동원의 대상으로써의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하지 않나 생각된다.  이것은 그 스스로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그는 지배와 동의의 이분법으로 구분될 수 없는 지지와 동의 속의 저항이라 정리하고 있는데, 이것이야 말로  근대 대중의 모호한 한계인 것이다.  저항의 대상에 대해 저항하지 못하고 동의를 표명하는 상황. 이것을 동의라고 할 수 있나, 저항의 미숙아닌가?


임지현은 네그리를 언급하는데, 네그리의 다중은 그 연원이 -단순화의 위험은 있지만-,  탈근대 권력자들이 국제적으로 단일화하는 제국으로 가동할 때, 대중이 다중으로 전화하여 제국을 상대하여야 하는 탈근대 대중이 자기주체를 확립한 나름 완전하고 요원한 형태의 모습이다.  그러기에 대중이 독재로까지 권력형태를 수용하는 입장의 임지현의 대중독재론은 자칫 시기적으로 over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나치즘, 파시즘, 그리고 소련을 위시한 동구유럽에서의 독재이론은 여러 방면으로 발전시틸 잠재력 있는 가상한 이론이기는 하지만, 그 시대의 사적 고찰로 대중독재를 내세움에는 무리가 있고,  현재의 대중의 주체적 비판을 온전히 할 위치와 그런 상황에서의 정치적 선호도와 그 실천상황을 가지고 그 지나간 시대를 정론하는 오류가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이후로 권력주체측이  대중의 물적 필요를 최소한이라도 충족시켜야한다는 것은 그 의미를 갖는다. 그러기에 선동이고 동원이고 폭력을 수반한 동의인 것이다. 대중의 입장은 수동적이었던 것이다. 대중이 독재를 염원했다.  그렇지 않다. 독재자의 선전 선동으로 자기 기만된 능동성의 발현인 것이다. 레마르크의 25시 주인공이나, 아큐정전의 주인공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될까? 20 세기초 임지현의 논문집에서 언급한 각국의 사례와 한국의 경우, 해방 이후의 반공동원까지에는 이러한 수동성이 관철된다.  박정희의 집권시기는 두 시기로 구분된다고 생각한다.쿠데타의 종료와 민선 직접선거에 있어서 그리고 재선까지는 박정희에 대한 수동적 동의가 있었다고 보이며, 유신정변 이후의 집권은 대중의 수동적 동의 마저 이반했다고 본다.  유신 이후 이를 지지하는 세력은 무지하거나, 기회주의 세력일 뿐이다. 


대중의 물적 필요의 충족을 위한 근대화, 산업화의 추진. 정치신학적 동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민족주의, 국가주권론 등의 이용 등을 통한 수동적 동의의 창출로 인하여. 대중들의 창발성에 기초한 공동체 구성의지는 근대사회에서 민족과 국가로써 환원, 전환되는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