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박성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성원은 도시적이며 지적인 작가다. 그의 소설 속에는 뜨거운 욕망을 지닌 등장인물들이 다양한 소설적 기법을 모자이크처럼 입고 있다. 여기서 약간의 괴리가 있다. 그것은 현대인이 살고 있는 삶에 대한 작가의 시선일 수도 있다.

 

  첫 단편으로 실린 작품이자 이 단편집의 표제작인 「하루」는 소시민들의 소소한 일상들이 얽히며 생기는 사건들을 보여준다. 몇 분, 몇 시간을 오가며 바뀌는 서술자는 이 소설 속 세계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사건들의 국면을 알지 못한다. 그래서 독자들은 애가 탄다. 이는 속임수 구성(반전 구성)이 넘쳐나던 시대에 레이먼드 카버가 제시한 소설적 작법이다. 독자에게는 미리 다 알려주고, 등장인물들은 혼란에 빠지는. 가령 이런 장면들.

 

  쌓인 눈을 발로 차며 걷던 소년이 걸음을 멈춘 것은 견인차 앞이었고, 시각은 오후 네 시 이십팔 분이었다. (…중략…) 견인차가 큰 길로 빠져나가자 소년의 뒤에서 두 대의 차량이 빠져나갔다. 앞선 차량은 견인차만큼이나 덩치가 큰 승합차였다. 호루라기를 불며 경비가 차량들을 인도했다. 소년은 차도로 엉금엉금 끼어드는 자동차를 바라보다 전봇대에 붙어 있는 견인대상차량 고지서를 보았다.

  소년은 고지서를 조심스럽게 떼어내 천천히 읽으며 집을 향해 걸었다. 쌓여있는 눈을 발로 차면서.

 

  은행이 있는 건물의 후문을 여자가 빠져나온 시각은 오후 네 시 이십구 분이었다. 발목이 시큰거렸고, 또 한쪽 굽이 떨어져나가 걷기 힘들었지만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 여자는 주차장이 있는 골목길을 향해 급히 돌았고, 그때 고지서를 읽으며 오던 소년과 부딪혔다.(…중략…)

  건물을 돌아 다시 주차장이 있는 골목 어귀에 도착했을 때 여자는 자신의 차가 분명 사라졌음을 깨달았다. 여자는 다시 전봇대에 기댄 채, 핸드백에서 휴대폰을 꺼내 남편에게 전화했다. 발목이 시큰거렸고 오줌이 말라붙은 치마 안이 냉랭했다. 바람 때문인지, 자꾸만 달라붙는 눈송이 때문인지 여자는 추위를 느꼈고, 어깨가 저절로 떨렸다.

  ―여보, 차가 없어졌어.

  ―어디에 뒀는데?

  ―응? 여기. 은행 주차장 입구에.

  ―도난당한 거 아냐?

  도난이란 말이 여자에겐 순간 도망으로 들렸다. 여자는 도망? 도망이라니? 하고 중얼거렸다.

  ―자동차 문 확실히 잠근 거야? 당신 건망증 심하잖아.

  ―잘 모르겠어. 그런데, 여보. 차 안에 우리 아기가 있는데.

  여자는 남편에게 말하면서 불현듯 잊고 있었던 중요한 사실이 떠올랐다. 자신이 왜 그렇게 서둘렀는지, 그제야 알았고, 순간 소름이 돋았다.

 

―박성원 「하루」 中

 

  이처럼 독자는 신처럼 소설 속 세계를 관망하고 있지만, 개입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더 애가 타는 것이다. 이렇듯 일 분 차이로 갈려진 운명은 단 하루 사이에 엄청난 일들을 만들어낸다.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소시민의 관계에서, 마치 조감도처럼, 세계를 향해 줌아웃되는 시선으로 끝이난다. 즉 개인의 하루하루가 모여 세계의 하루를 이룬다는 뜻이 아닐까.

 

 

  이 책에 실린 또 다른 단편 중, 「얼룩」이라는 작품에선 또 기막힌 작법이 나온다.

 

  얼룩이 나타난 다음부터 여자는 아무 약이나 먹었다. 처방전도 필요 없었고, 약국에서 마치 쇼핑을 하듯이 약을 샀다. 여자에게 약의 효능 따위는 중요하지 않았다. 여자는 그저 알약의 색깔이 마음에 들거나 포장지가 예쁘면 아무 약이나 샀다. 그리고 울적해지면 닥치는 대로 약을 삼켰다. 언젠가는 연고의 색깔이 너무 좋아 핸드크림처럼 수시로 손과 팔에 바르기도 했다. 이처럼 많은 약을 먹였다면 아이는 죽지 않았을 텐데, 의사들은 엉터리야. 약을 털어넣으며 여자는 생각했다.

 

―박성원 「얼룩」 中

 

  이 소설의 주인공인 여자는 얼룩이라는 환각을 본다. 여자의 아이가 죽고, 여자는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모양이다. 이 소설에서 아이의 죽음에 대한 내용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 여자의 아이가 죽은 뒤부터 여자는 시간개념을 잃어버렸다는 것과, 방금 위에서 인용한 내용. 이 두 문장만을 가지고도 독자들은 충분히 여자의 사연을 짐작할 수 있다. 짧고 간단한 설명으로 독자들의 상상을 불러 일으키는 기법은 정말 매혹적이다.

 

 

  이 소설집의 또 다른 특이한 점은, 중반부와 후반부에 배치된 단편들, 「어느 맑은 가을 아침 갑자기」와 「분노와 복종 사이에서 그녀를 찾아줘」, 그리고 「저녁의 아침」까지 연달아 세 편에서 '망원경을 든 소녀'라는 똑같은 인물이 나온다는 점이다. 어쩌면 다른 인물일 수도 있지만, 비슷한 인물이 연달아 등장하는 서로 다른 에피소드를 보면서 이것이 연작소설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봤다.

 

 

  마지막으로 실린 단편 「흔적」은 내 친구가 정말 좋아한 작품이다. 박성원의 작품에는 느낌 상일 수도 있지만, 구어체로 이루어진 작품들이 많은 것 같다. 나는 구어체가 익숙하지 않다. 어쩌면 대부분의 독자들이 그럴지 모른다. 이러한 작품들은 문체가 익숙해질 단 하나의 임팩트가 필요하다. 소설 속에 푹 빠져들면, 더 이상 문체는 중요하지 않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생물 선생이다. 생물학만을 진리라고 믿는 주인공 때문에 이 작품에선 과잉이다 싶을 정도로 많은 생물학 용어와 지식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그것이 캐릭터의 특성을 잡아주었기 때문에 현학적으로 읽히지는 않았다.

 

  이건 몸이 아니라 무덤이에요.

 

―박성원 「흔적」 中

 

  이 문장을 기점으로 소설에 빠져들어간다. 이 소설은 생물학만을 맹신하던 한 남자의 변화를 보여준다. 인생에서 1년 6개월이란 그리 긴 시간이 아닐 수도 있다. 어쩌면 '하루'와 마찬가지일 수도. 그러나 오스카 와일드의 말처럼 하루만에 인생을 모조리 살아버리는 사람도 있다. 그러니까 이 소설집이 하루에 집중한 것은 정말 유의미한 일일 것이다.

 

 

  강에 물이 흐른다면, 도로에는 사람이 흐른다. 물은 돌 속에 정박하지 않지만, 사람은 건물 속에 정박한다. 강은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또 흘려보내지만, 도시는 닥치는 대로 집어먹는다.

  어째 훌륭한 소설이었다.

 

 

  누군가의 하루를 이해한다면 그것은 세상을 모두 아는 것이다.

 

―박성원 「하루」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