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일곱의 사계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25
설재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설재인의 "열일곱의 사계"를 읽는 내내 마음이 편치 않았다. 책장을 넘길 때마다 아민과 그의 학생들이 겪는 외로움, 상처, 그리고 성장의 이야기가 마치 내 주변 아이들의 일기처럼 느껴져 읽는 속도가 나지 않았다. 물론 주변에 그렇게 특별한 아이들이 있지만 않지만, 아이들이라는 이유가 엄마인 나를 잡아당기는 것 같았다.
흔히들 말하는 영재, 자퇴, 독학으로 공부 뛰어난 성적과 좋은 학교, 우리가 주목하는 모습들이다. 부러워하고 닮고 싶어 하던 모습. 하지만 아민의 열일곱 살은 따돌림, 거처도 없는 불확실성과 가족의 병환과 가난으로 정의된다. 이런 아민에게 과외라는 생계를 위한 절실함이 봄에서 가을까지 전혀 연관 없을 듯한 인물들을 엮어준다. 부모의 방임으로 방치된 20살의 유정, 기대에 눌린 5학년 영재 성현, 엄마를 위해 공부를 포기하는 중2 지원이가 그들이다. 아민은 이들을 통해 세상의 벽을 느끼며 괴로워하고 분노하고 슬퍼하며 그렇게 한 걸음씩 자신의 삶을 살아낸다. 아민이 힘들어하는 장면에서는 엄마로서 마음이 너무 아팠다. 돌봄을 받지 못하는 많은 아이가 있을 수도 있다는 현실 또한 미안함으로 다가왔다.
학부모들은 누구나 자식들을 제일자유고에 보내고 싶어 했다.
그중에서도 희준의 부모는 가장 맹목적이었다. 희준은 억지로 입학시험을 봤고,
불행히도 합격했다. 그 과정에서 희준의 의사는 정말이지 단 하나도 반영되지 않았다.
책은 아민이 대학을 졸업하고 계약직 교사로 고1 희준이를 만나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 겨울 희준을 중심으로 성현, 지원, 그리고 아민까지 모두가 같은 장소에서 만나며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처음엔 경계 밖의 특별한 아이들처럼, 서로가 전혀 상관없는 아이들처럼 보였지만, 그들 역시 내면의 고민은 보통의 아이들과 다르지 않아 오히려 더 마음에 와닿았다. 이야기는 어두운 현실을 다루고 있지만, 각자의 아픔을 안고, 서로를 이해하며 성장해 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희망을 엿보게 한다. 아민이라는 공통분모로 인해 각각의 불안으로 위태한 아이들의 연대는 이 또한 지나갈 거라는 묘한 위안을 전해 주었다.
상처를 헤집느라 두근거리는 가슴을 감추려고 일부러 더 삭막하고 딱딱한 어투를 가장할 때마다 희준은 발끈했다. 마치 자신의 일처럼. 남들은 알아주지도 않았던 사건들을 희준은 아주 큰 것으로 생각해 주었다. 이상하게도 그 모습이 아민을 위로했다.
과거를 남에게 털어놓을 수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그때의 무게감을 줄였다.
책을 덮으며 요즘 아이들은 이렇게 복잡한 마음과 고민을 품고 자라는데 부모인 나는 내 과거의 경험과 익숙한 지식, 상황에 머무르며 그것을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반성하게 되었다. 아이들이 힘들어하는 많은 이유가 어른들은 아닐지 생각하게 된다.
아민과 아이들이 스스로 공감하며 연대를 찾아 성장하는 긍정적인 모습이 청소년 소설을 더욱 매력적으로 느끼게 했다. "열일곱의 사계"는 우리 아이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아픔에 공감하며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만드는 소중한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