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미술관 역사로 걷다 - 프랑스 혁명기의 다비드부터 자본주의 시대의 반 고흐까지
이동섭 지음 / 지식서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화를 통해, 프랑스 혁명 이후 파리의 역사를 엿보다.
파리의 역사를 좀 더 친숙하게 느끼고 싶은 사람을 위한 책.

 

 

파리 미술관, 역사로 걷다. 이동섭. 지식서재.

 서평단 이벤트를 뒤지다 발견한 책.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그림을 잔뜩 볼 수 있다고? 와아 멋지다. 마침 내가 본 소개글에는 다비드가 나왔다. "무서운 그림" 등의 책을 통해, 작가와 작품 모두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비드.
 거기다 가을에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교양 강의를 들으면서, 인상주의 작가에도 많이 익숙해졌다. 특히 마네와 모네 르누아르와 세잔에 대해서는, 강사의 강의가 매우 재미있는 나머지 반짝반짝 눈을 빛내며 들은 만큼, 조금은 자신이 생겼달까. 고로 이 정도면 나도 이해할 수 있겠지. 엣헴. 이런 기분으로 서평단 이벤트에 신청했다.
 역사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같지만. 역사가 가미된 것 같지만. 아름다운 그림에 눈이 멀어 역사 부분은 가볍게 무시했다. 원래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는 눈이 머는 법이다.
 (주의. 이 책은 명화를 통해 역사를 이해하는 책으로, 역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각 시대의 대표하는 화가들의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시대상에 대해 설명하는 책. 시대상을 다루는 만큼 역사가 아주 안 들어가지는 않지만, 역사가 주가 되는 건 아니다. 어디까지나 화가와 그림이 주이고, 역사는 화가와 그림을 설명하기 위한 부수적인 위치.
 화가의 그림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역사가 양념으로 쓰였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정도다. 역사를 좋아하지 않는 입장에서, 다행인 부분.

 다비드하면. 마리 앙뚜아네트의 마지막 모습을 그린 그림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왕비였던 여자는, 보통의 죄수들처럼 구경거리가 되어 형장에 끌려갔다. 한 시대가 저물었다는 점을, 그 이상으로 보여주는 모습도 없지 않을까.
 그럼에도 그녀는 고고하게,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듯이,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고 있다. 이미 끝나버린 왕정. 하지만 그 마지막 유산만큼은 지키겠다는 것처럼.

 다비드는 주인은 몇 번이고 갈아치웠지만, 화풍은 거의 바뀌지 않았다. 그림을 통해 이념을 전파하고, 그 이념 전파를 통해 돈을 벌었다. 당시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을 통해, 권세를 누렸다고 해야 할까. 그토록 주인을 바꾸면서도 다비드가 무사했던 건, 원하는 바를 확실하게 전달하는 그림 실력 덕분이었을 터. 그런 그림만이 인정되는 곳이 살롱전이었다.
 당연하리라 생각한 왕정이 끝나버린 것처럼, 영원히 위세를 누릴 것 같던 살롱전도 그 위명을 잃기 시작한다. 살롱전에 입상하지 못하면 팔리지 못하는 시대에서, 살롱전에 입상하지 못해도 괜찮은 시대로. 더는 살롱전이 권위를 부여하지 못하는 시대로.
 인상주의가 살롱전의 권위를 허물어뜨렸고, 이후 많은 화가들이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면서 다비드의 시대. 그토록 찬란한 위세를 선보였던 살롱전은, 권위를 잃는다. 마네는 어떻게든 살롱전에 입상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것 같지만, 모네 이후 작가들은 딱히.

 자신이 본 것만을 전달하고자 하는 모네의 연작들. 자신의 인상을 충분히 전달하면서 동시에 사회상 역시 전달하는 드가의 작품. 자신의 인상을 전달하지만, 특별한 이야기를 담기보다는 행복해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자 한 르누아르.
 드가와 르누아르는 거의 동시대 사람. 하지만 두 그림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다르다. 드가는 하층민의 사람들의 모습을 조명한다. 발레하는 소녀는 매우 아름다워 보인다. 하지만 당시 무희들이 어떤 처지인지 안다면. 발레를 하는 소녀를 바라보는 남자도, 그리고 발레하는 소녀도 지금처럼 단순히 예쁘다는 시선만으로 보는 건 힘들어진다.
 하지만 르누아르는 드가와 달리 그런 무거운 이야기 하지 않는다. 사람이 가장 반짝이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줄 뿐. 르누아르는 그림 속에 유쾌하고 발랄한 이야기를 담는다고 한다. 힘든 시기이기에 오히려 행복한 모습에 집중한다고 해야 할까.
 
 유명한 화가. 유명한 시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네. 이렇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책을 읽으며 한 번 더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림과 화가에 푹 빠져 읽어도 상관없고, 그림에서 드러나는 시대상에 집중해 읽어도 상관없다. 어느 쪽으로 읽어도 크게 문제없는 책이니만큼 내키는대로 읽으면 된다.
 다만 어느 쪽이든 이 책을 덮었을 때, 읽어서 다행이었다는 기분이 든다면 기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