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 끌리다 - 나를 위한 특별한 명화 감상
이윤서 지음 / 스노우폭스북스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그림이 어우러진 한 권의 에세이

기대평 이벤트로 받은 책이므로 평소와 논조 문투 등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서평단 이벤트로 받은 책이라고 특별히 다르지는 않았지만.

 그림은 어렵다. 그리는 것도 보는 것도 전부. 전시회는 몇 번 가봤다. 아름답다. 그뿐. 스치듯 바라보다 10분도 안 되어 전시회장을 나온다. 알지 못하면서 왜 온 거야. 이런 말이 뒤에서 들리는 것 같다. 열등감 때문이다.
 하루 두 권의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책을 읽자는 소규모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다. 한 달에 한두 권은 예술 관련 책을 읽는다. 7월 중순 휘몰아치듯 미술과 건축 책을 읽어댄 것도, 8월 1일 이 책을 집어든 것도 그 때문. ‘난생 처음 한 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2’도 사두었다. 8월 말에 읽지 않을까.
 초심도 열정도 없다. 무언가에 미치는 성격은 아니다. 어떤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마다, 시간을 낼 수 있는지, 실패할 경우 어떤 타격을 받는지, 이런 것부터 분석하는 재미없는 인간이다. 초심 굳건하고 열정 넘치는 사람이 부럽다. 내 인생에는 없는 단어다. 대신 한번 시작하면 꾸준히 하려고 노력한다. 그마저도 안 하면 인생이 너무 심심하다.
 
 서정적이고 여성스러운 문체로 자신의 이야기를 조곤조곤 늘어놓는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직장인이다. 아이가 있다. 그림을 좋아한다. 단서만 곳곳에 뿌려 놓을 뿐. 책을 다 읽은 뒤에도 저자에 대한 인상은 분명하게 떠오르지 않는다.
 행간 곳곳에서 느껴지는 씁쓸하면서도 서글픈 감성이, 마음을 뒤흔든다. 산문시 비슷하다.

그림 이야기지만, 그림에 집중하지는 않았다. 중심 소재는 그림이지만, 그림이 주인공은 아니다. 주인공은 화가의 인생. 그리고 저자의 인생. 하나만 꼽는다면 저자의 인생이다. 그림과 그림에 녹아든 화가의 인생을 이야기하며, 저자는 천천히 인생의 실타래를 천천히 풀어나가기 시작한다.
 책 초반 아련하고 씁쓸한 감정은, 책 후반이 되면 천천히 사라진다. 대신 밝고 희망찬 감정이 빈자리를 채운다. 망설임은 여전히 남아있다. 그래도 저자의 태도가 밝아지면서 책도 밝아진다. 노린 구성이 아닐까. 여러 일들 때문에 힘들어하는 독자 역시, 책을 읽다보면 위로받고 긍정적이 될 수 있도록.

그림에 대해 전문적으로 분석한 책은 아니다. 이 그림은 어떤 구도이고, 어떤 상징을 사용했으며, 이 그림이 진정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며.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은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은 그림을 그릴 때 화가는 어떤 상황이었고, 어떤 심경이었고, 화가의 인생은 어떠했는지, 그림 밖의 소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서양화 위주지만, 한국 그림도 다룬다. 조선시대 그림도 있지만 광복 이후 그림도 있다. 미인도 위작으로 논란이 된 천경자도 스치듯 언급하고 있다. 미인도 위작 논란에 대해서도.
 익숙한 그림이 많지만, 지겹지는 않다. 한 그림을 이토록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구나. 신선한 기분마저 든다. 같은 곳을 바라보지만 같은 것을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 누구도 같지 않다. 새삼스레 곱씹어 보는 작은 진리.

어제 멋 부리느라 오히려 문장을 망가뜨렸다는 감상을 인스타그램에 남겼다, 지금 내 글을 읽어보니, 나도 만만치 않다. 반성 중.
 그림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이 아닌, 그림을 취미삼아 즐기고 싶은 사람.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그림과 관련된 뒷이야기가 궁금한 사람이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을 듯. 아울러 서정적인 문체를 좋아한다면 더욱 좋지 않을까.

 

https://www.instagram.com/p/Bl7zQxwg19a/?utm_source=ig_web_copy_lin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