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 인문적 건축이야기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익숙한 건물. 낯설게 바라보기

 

  주말마다 전주에 내려간다. 남편이 전주에 살기 때문에. 전주에 갈 때, 책 몇 권을 챙겨 내려간다. 이번 주는, 평소에 거의 읽지 않는 책으로 선택했다.
 
  신기한 건물 싫어하지는 않는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특이하다기에, 일부러 남편과 함께 서울 데이트도 갔었다. 마침 얼굴 있는 장터가 한창 진행 중이었다. 이것저것 구경하다, 순두부 아이스크림 매장에 가, 고구마 맛 아이스크림을 하나 샀다. 맛있었다. 날이 선선해지면 또 가도 좋을 듯하다.
  다만, 미술과 마찬가지로 보는 걸 좋아만 할뿐. 이 건물을 짓기 위해 어떤 기법을 이용했는지. 그런 것까지 알고 싶지는 않다. 그렇게까지 파고드는 건 귀찮다. 창덕궁이나 종묘를 가면, 해설사가 동행하며 건물 설명을 해주지만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
 
  이 책은 건축. 특히 한국에 있는 건축물 대상으로 이런저런 설명을 하고 있다. 건물을 짓기 위해 어떤 기법을 사용하는지. 건물에 쓰이는 재료들이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지.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건축은 어떤 특징을 갖게 되는지. 단순한 건물을 넘어 도시 구조까지 들어가게 되면, 언제나 멀게 느껴졌던 건축이 조금은 가까이 다가온 기분이 든다. 내 바로 옆에 맞닿아 있다는 실감이 들어서.
 
  특히 인상깊었던 부분. 건축은, 당시 생활상을 반영한다. 창덕궁에는 조선 시대 사대부의 주거 양식을 보여주는 연경당이 있다. 남녀의 출입문마저 다르다, 지붕과 하마석 유무에서, 남녀의 위상이 뚜렷이 구분된다. 조선시대가 어떤 사회였는지, 건물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0
 조선시대처럼 노골적이지는 않지만, 현재 건축에도 주거에서 노동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떼어 놓는다. 부엌에서 일하는 사람은 다른 구성원에게서 등을 돌린 채 일해야 한다. 아파트 베란다의 수도꼭지를 틀기 위해서는 몸을 낮추어야 한다. 주거에서 노동하는 사람의 절대 다수가 여성임을 고려하면, 아직 우리 사회가 남녀평등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는 짐작하게 해 준다. 아울러 현재 건축이 무엇을 지향해야 할지도.
 
  건축 재료에 대해서. 건축에 담겨 있는 시대상에 대해서. 자본과 건축주의 제한 속에서 건축가가 어떻게 역량을 발휘하는지. 건물 하나 짓는데 건축가가 얼마나 고심을 하는지. 저자는 이런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 놓은 뒤, 마무리 삼아, 자신이 감명 깊게 생각하는 몇 건물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짓는다.
  인상 깊은 건물이 여럿 있었다. 불편한 입지 조건 속에서, 건축가가 어떻게든 자신의 이상을 풀어낸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한 이야기라든지. 하지만 가장 시선을 끌었던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에 대한 이야기.
  단순히 고려시대 목조 건축물로만 알고 있던 부석사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했다. 전형적인 구조 대신, 살짝 비틀어진 구조를 선택한 부석사의 공간 설계. 그냥 봐서는 단순히 특이하다 싶은, 그 공간 설계는 추분과 춘분 마당 모서리에 섰을 때, 모든 것이 일직선에 서게 함으로서 서 있는 사람에게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감동을 준다고 한다. 정확한 의도는 이제 와서 알 수 없겠지만, 천 년이 지난 뒤에도 사람에게 같은 기분을 계속 느끼게 할 수 있다는 것, 정말 대단한 일이 아닐까.
 
  익숙하게 보고 지나쳤던 건물들. 하지만 사실은 그 모든 것에 건축가의 치밀한 계산이 담겨 있다는 생각을 하며 다시 보면,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익숙한 주변을 익숙하지 않게 보고 싶다면, 한 번 정도 읽어보아도 좋을 책이다
     

 

 

자세한 사진은 https://www.instagram.com/p/Blh3NbWgz2o/?utm_source=ig_web_copy_link 참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