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없는 성적표
류태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 산업 혁명 – 새 시대에 어울리는 아이들을 위하여

이 책은 서평단 이벤트로 받았습니다. 평소와 문투, 논조, 태도 등이 다를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 책 처음에 받았을 때 첫 생각. 왜 이렇게 얇아. 읽고 난 뒤 생각. 얇아서 다행이다. 얇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책은 더 길면 안 된다. 더 길면 아마 난 저어기서 울면서 바닥을 파고 있을 거다
     
  저자는 미국에서 오래 생활하며, 미국의 성적표가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확인했다. 보다 보니 참 괜찮다. 소개하고 싶다. 소개한 김에 한국에도 도입되어야 한다고 설득도 하고 싶다. 이 책이 나오게 된 이유가 아닐까.
 
  성적 없는 성적표. 현재 미국 여러 학교에서 도입한 이 성적표는 역량 중심 성적표이자 과정 중심의 성적표이다.
  우선 역량 중심의 성적표. 4차 산업 혁명 이후 필요한 역량 창의적 사고, 리더십, 진취성, 진실성 등을 학생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는다. 기존 성적표처럼 줄을 세우는 것은 아니다. 이 학생의 강점이 무엇이며 약점이 무엇인지 보여줄 뿐이다.
 
사람의 역량은 계속해서 변한다. 현재 결과를 보여주기만 해서는 의미가 없다. 여기서 과정 중심의 성적표가 나온다.
  학생은 각 역량을 기르기 위한 활동을 하고, 그 활동 내역을 영상 등으로 찍어 기록한 뒤, 기록물을 제출한다. 학생이 제출한 기록물도 성적표에 반영된다.
  즉, 성적표에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과정까지 고스란히 묻어난다. 사람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시험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다만 시험 결과 역시 과정의 일부분이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학생과 교사가 함께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더 나아질 수 있는지 연구하고. 그 과정을 성적표에 다시 기재한다.
 
  각자 강점과 약점이 다르고, 역량을 기르는 방법도 다 다르다. 주입식 교육이 설 자리가 없다. 교사는 이제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다. 함께 달리며 방향만 제시해줄 뿐이다. 진정한 학생 주도적인 교육이 시작된다.
 
  읽으며 내내 생각했다. 물론 좋은 이야기다. 사람을 성적만으로 줄 세우고, 그 성적만으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건 잔혹하다. 하지만 과연 이 방법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일단 강남에 학원이 우수수 생기겠지. 역량 교육을 도와 드립니다. 성적표에 올릴 영상을 만들기 위한 영상업체도 범람할 터.
  여행사에서는 여행상품을 개발할지도 모른다. 무슨 역량을 키우기 위해 이런이런 코스를 만들었습니다.  안 그래도 사교육이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사교육 시장을 더 크게 만들어주는 정책이 될 수도 있다.
  준비해야 할 것도 많다. 양질의 교사. 역량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교재도 바꾸어야 하고 사회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현재 자유학기제도 빈부격차가 크다고 들었는데, 이 자유학기제가 전면적으로 도입된다고 보면 된다. 빈부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도 분명 클 터다.
 
  책 자체는 짜임새 있다. 미국의 성적표를 직접 보여주며, 성적 없는 성적표가 무엇인지 궁금할 사람의 의문을 풀어준다. 성적 없는 성적표가 왜 유용한지 예시를 잘 들어 설명하고 있다. 과도기 상황에서 어떻게 제도를 운용할지 저자 나름대로는 고민하고 있다.
  다만. 한글로 충분히 쓸 수 있는 상황에서도 계속 튀어나오는 영어 단어와 지나치게 이상적인 태도는 거슬렸다.
  그래도 새로운 시대에 어떤 교육을 하면 좋을지 고민해보는 사람이라면, 특히 중고등학생을 자녀로 둔 부모나 중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라면 읽어봐도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