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부엌에서 과학의 모든 것을 배웠다 - 화학부터 물리학·생리학·효소발효학까지 요리하는 과학자 이강민의 맛있는 과학수업
이강민 지음 / 더숲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자생물학자가 쓴 요리책일까? 아니면 요리하는 과학자가 쓴 과학 책일까?


단백질구조학을 공부한 저자 이강민은 해외에서 젊은 시절의 1/3을 보냈다.

외국 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게 된 외국의 식문화가 그의 인생을 바꾸었다.

요리와 과학이 접목된 '분자요리'를 접하게 되면서 행복하게 음식을 먹는 것,

그리고 그 이상의 과학과 요리와의 만남에 매료된 저자는 결국 빌바오라는 레스토랑을 열어 밤에는 요리를 선보이고 있다.


요리란 무엇일까?

요리는 식재료를 가열하고 끓이는 것이다. 그 속에는 헤아리는 것, 가열하여 익히면서 불을 다스리고, 먹을 사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저자는 새로운 학문 영역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바로 '분자요리학'이다. 음식을 조리여 맛있게 먹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하는 학문을 말한다.

분자 수준으로 요리를 들여다보면 요리는 물리, 화학, 생화학, 미생물학, 생리학, 인문학 등의 총체적인 이해가 있어야 전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부엌에서 배우는 물리학, 화학, 생리학, 생체분자, 발효, 문화와 예술 영역과 관련된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다.

결국 내 판단으로 이 책은 요리를 소재로 한 과학 책이다. 부엌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자주 던지는 아이가 있다면 꼭 같이 읽어보기를 권한다.


과학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보면 정말 흥미로운 융합이다.

이 저자처럼 과학자들의 색다를 도전들이 더 많아지기를 기대하고 응원한다.

음식 실험실(Food Lab)의 과학자!

우연히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구워진 고깃덩어리를 발견한 것에 시작하여 새로운 학문이 만들어진 것처럼

각 분야의 과학자들도 자신의 영역에서 발견한 우연을 통해 새로운 학문으로 들어가는 열쇠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그 발견의 시점에서 열쇠를 들고 새로운 문을 열 수 있는 용기 또한 갖게 되기를!

이제는 좀 더 많은 영역에서 퍼스트 펭귄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