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예쁘다 - 육아의 블랙홀에 빠진 엄마들을 위한 힐링 에세이
김미나 지음 / 지식너머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나'라는 존재가 사라져가는 느낌에 우울해지던 어느 날,

자신의 삶에서 가장 많은 내적 성장을 거쳐야 하는 시간이 바로 엄마가 되어가는 과정임을 깨닫고

스스로를 다독이고 위로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김미나 작가.


나에게도 마찬가지다.

지금 다른 어떤 일보다 두 아들의 엄마로 살아가는 나 자신이 가장 중요해 보인다.

'엄마'라는 이름표가 내게 주는 의미와 그에 따른 책임과 의무를 감당하고 있는 중이다.

늘 힘든 일만 있는 것은 아니다. 김미나 작가의 말처럼 '아이들의 주는 행복'을 한껏 누리고 있는 중이니까.

그래서 매일 밤마다 우리 아가들이 오늘 하루 어떤 귀엽고 앙큼한 일들을 벌였는지 남편에게 생생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남편은 보지 못 했을 아이들의 생활들을 공유해주고 싶어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이 어떤 의미인지 알게 해준 두 가지 중요한 경험을 했다.

한 번은 '팀장'이 되었을 때,

그리고 '엄마'가 되었을 때다.


모두 첫 경험이었기에 서툴렀지만,

그 이름 때문에 행동이 달라지고, 가치관이 달라지고,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힘들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

다르게 말하면 '힘들다는 건, 내가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는 말이다.

모든 일은 힘을 들여야 완성이 되니까.

값진 땀방울 뒤에 이루어진 결과가 더 소중하게 여겨지는 법이니까.


두 왕자가 와서 내게 '엄마'라는 이름을 주고, '엄마'처럼 살 기회를 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은 내가 퍼주는 것처럼 생각을 해 '번-아웃'되는 경험을 한다.

서로 채워주어야 행복해질 텐데 말이다.


이 책이 알려준 깨달음.

초보 엄마, 그리고 지금은 여덟 살 엄마. 여섯 살 엄마.

그렇다. 아이도 나도 자라고 있다. 서로 다독이며 성장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혼자 슬픈 멜로 영화를 보는 것처럼

웃고 울었다. 그리고 그 시간을 만끽했다.

어찌나 공감되는 이야기들이 많은지...

마치 내가 출연한 다큐 한편을 보는 듯한 느낌...

그리고 아이들의 성장일기를 멈춰둔 것을 후회했다.


"엄마~"하고 달려오는 '엄마 똥강아지들'의 일상을 다시 차곡차곡 남겨둬야겠다.

지금도 몇 년 전이 그리워지는데, 다 커버리면 얼마나 더 그리워질까 말이다.


과학지식디자이너

201507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