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왠지 색다름을 강조하는것 같은 이 책의 표지나 소개 문구에 눈이갔었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과 같은 영화가 몇일 전에 개봉했기에 더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 또한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의 작품이란 점에서 이 책이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리는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몇년 전 그가 쓴 작품인 '위대한 개츠비'를 읽은 나의 느낌은 왜 그 책이 그렇게 유명했었는지 사실 의아할 뿐이였다. 내가 알지못하는 또다른 의미가 있기에 그 책이 세간의 주목을 받았을꺼라 추측만 할뿐이였다. 그리고 그가 쓴 또다른 이야기들을 모아놓은 이책...

사실 읽는 내내 나의 기대를 져버리는 느낌이랄까... 아직 이해의 폭도 좁고 책을 보는 안목이 별로 없기 때문이리라 생각하며 마지막까지 힘겹게 읽었다.

다행히 마지막의 옮긴이 김선형님의 글에서 나름 위로를 받은 기분이다.

'이 단편집을 읽고 어쩐지 어리둥절한 기분이 된 독자들도 많을것 같다. 역자인 나부터가 그랬으니....'

 

이 책에는 11편의 단편의 글이 실려 있는데, 대부분이 저자가 살았던 그 시대의 시대적인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었다. 내가 살고있는 현재와는 많이 다르기 때문인지 이야기에 깊이 빠져들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는데...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이야기는 요즘 영화광고로 대충의 전개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며 읽었는데... 내가 알고 있던 영화의 내용과는 많이 달랐다. 아무리 단편이라지만 40페이지 남짓의 분량이라는 점도 아쉬웠고, 이야기의 전개가 정말 맥이 빠졌었다. 단지 색다른 소재의 이야기란것이 유일한 볼거리이였다.

너무나 황당한 공상을 첨가해서 그 시대상을 그린것 같은 '리츠칼튼 호텔만 한 다이아몬드'이야기는 나에게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했고, 인간의 욕망이나 욕심등이 다분히 내포되어 있었다. 한순간에 모든것이 사라져 버리는 마지막의 교훈까지 남기면서 말이다.

그리고 무언가를 암시하는듯 했던 '메이데이', 그리고 삶을 되돌아보게 하면서 사랑의 의미를 생각하게 했던 '행복의 잔해'등 여러 단편들 중에서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내용은 없었던것 같다.

책을 읽으며 저자가 살았던 그 시대를 어렴풋이 느낄수 있었다는 것뿐...

스콧 피츠제럴드가 쓴 '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읽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