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이 책의 첫 장에서는 나치 독일의 2인자였던 괴링이 패전 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교수형 선고를 받자 시안화물 캡슐을 먹고 자살한 이야기에서 프러시안블루라는 안료의 탄생 이야기로 전환된다.
그리고 다시 유대계 독일인 화학자인 프리츠 하버의 생애로 이야기는 확장되어가고 우리들은 자연스럽게 세계 과학사 한 구석에 자리를 하게 된다. 이어지는 네 편의 이야기들 역시 비슷한 전개이지만 점점 더 작가의 상상력 비중이 커진다는 느낌을 독자의 입장에서 받았었다.
이런 의문들은 이 책의 결말까지 이어지면서 정말 어디까지가 실제로 일어났던 일들이고, 또 작가의 창작이 포함된 비중이 어느 정도까지인지 궁금하게 만든다.
이 작품이 과거와 현재 과학자들의 실제 이야기를 담은 논픽션과 허구의 이야기를 다루는 픽션 그 중간 지점에 머무르고 있고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이야기라서 그런지 특정 지식이 없어도 한편이 이야기를 보듯이 보면 재미있다.
드라마나 영화처럼 여러 인물들이 얽힌 사연과 이어지는 흥미로운 질문들이 재미있고 속 뜻이 있는 것 같다.
슈뢰딩거, 하이젠베레크, 슈바르츠실트, 그로텐디크, 아인슈타인 등 이 책에 등장하는 여러 과학자들의 놀라운 발견과 집요한 열정은 마치 천재를 다룬 영화 속 주인공처럼 이 책의 스토리라인의 빼대가 되는 부분이다.
동시에 다른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광기와 고독 우리가 사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논픽션과 픽션이 잘 조합된 책인 것 같다. 이런 독특한 작품을 세상에 내놓은 이 작가의 필력이 상당히 수준이 높다고 생각한다.
국내와 해외 과학자나 저널리스트 등이 선보이는 대중 과학 서적들이 시대의 부름을 받는 많은 지식의 나오고 책으로 발간된다.
4차 산업혁명과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과학이 주는편안한과 의문점은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하며 지금의시점에서 그 어떤 과학 관련 책들과 차별화된 개성을 보유하고 있는 책을 읽어본 것이 상당히 재미있는 시간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