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나중에 오는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현실성에 근접한 것이고,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심장이 식었을 때 오는 것이다. 무아지경에 빠진 애인은 사랑을 '이해하고' 싶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경험하고 싶어 하고 그 강렬함, 사물의 초점이 또렷이 잡히는 느낌, 삶이 가속화하는 느낌, 얼마든지 정당화할 수 있는 이기주의, 욕정에 찬 자만심, 즐거운 호언, 차분한 진지함, 뜨거운 갈망, 확실성, 단순성, 복잡성, 진실, 진실, 사랑의 진실을 느끼고 싶어 한다.
-  p141


연애가 담고 있는 감정은 무한하다. 차분한 만남부터 격렬함까지, '연애'라는 것은 어느 한 단어로 정의될 수 없는 마성의 단어다.
연애에 빠진 순간부터는 그 누구의 말도 귀에 진중하게 들리지 않는다. 특히 연애와 관련한 충고라면 더더욱 그렇다. 앞만 보는 경주마처럼 '연애'에만 직진했다가 모든 감정이 뒤흔들린 다음에야 발을 뒤로 빼게 된다. 그리고 나면 직접 경험했던 '연애'의 잔가지들뿐만 아니라 숲이 비로소 보인다.

숲이 보였을 때에 이르러서야 후회, 미련, 아쉬움, 경멸, 분노 같은 감정들이 쏟아진다. 비난을 막 상대방에게 퍼붓기도 하고 자기 자신을 한심하게 여기기도 하고, 그 때 왜 충고나 조언을 귀에 담지 않았나 후회하기도 하고 최선을 다한 시간이기에 미련 없이 뒤돌아 서기도 한다. 처음엔 이 하나하나의 감정들, 사건들이 너무 특별한 일로 다가왔는데 시간이 지나고 나이를 먹으니 사람 사는 인생사 중 하나의 문장 정도로 여겨진다. 어찌 보면 젊었기에 가능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10대였던 케이시가 테니스 클럽에서 만난 수전 맥클라우드와 사랑에 빠지게 된 건 이 단순한 문장 하나로는 사귀나 보다, 연애하나 보다 라는 생각이 들지만 흔한 연애의 시작은 아니었다. 수전 맥클라우드는 케이시보다 나이가 훨씬 많은 유부녀였기 때문이다. 그와 그녀를 순수하게 남자와 여자로 놓고 보면 이들의 연애 이야기는 무지 설레고 긴장감 있고 다정하다. 문제는 이들이 이들만의 세계에서 사는 게 아니라 현실 안에서 산다는 거다. 그러기에 케이시의 부모님, 수전의 남편, 수전의 딸들 등 부딪쳐야만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인생은 단면이고, 기억은 결을 따라 쪼개지는 것이며, 기억은 그것을 끝까지 쭉 따라간다.
- p180

연애를 시작하면 상대방과 함께 나누는 시간 안에 기억이 차곡차곡 쌓인다. 좋은 기억이건 나쁜 기억이건, 그 기억은 연애와 함께 공유된다. 서로에게 빠져 사랑을 하는 동안에는 연애의 기억은 선명해진 상태가 되지만 서로의 관계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그 기억은 희미해진다.
수전 맥클라우드가 자신이 살고 있던 집을 떠나 케이시와 함께 동거를 하게 되면서 그저 두 사람만 서로 바라보며 집중했기에 지금 당장에만 꽂혀있던 시선이 점차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누군가는 돈을 벌어야 일상이 지속될 수 있으니까 말이다.

둘만 함께 있다면, 사랑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수전은 남편과 함께 살 때보다 더 술을 마시기 시작했다. 케이시와 함께 있으면서 알콜중독자가 되어버린 수전, 두 사람의 연애의 기억이 흐릿해지기 시작했다. 대체 '사랑'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 건지. 현실과 맞닿은 사랑을 지키는 방법을 케이시와 수전은 혹독함을 치뤄가면서 느낀다. 수전을 남편의 폭력에서 구해냈지만 케이시와 함께 지내는 일상이 그리 행복하지만은 않은 것 같아서 케이시의 하루하루도 점점 연애의 기억으로부터 눅눅해져 간다.

그의 사랑은 사라졌다, 쫓겨나버렸다, 달이 갈수록, 해가 갈수록. 하지만 그가 충격을 받은 것은 사랑을 대체한 감정이 전에 그의 심장에 자리 잡고 있던 사랑만큼이나 격렬하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그의 삶과 그의 심장은 전과 마찬가지로 동요했는데, 다만 이제는 그녀가 그의 심장을 진정시켜줄 수 없다는 게 다를 뿐이었다. 그리고 이로써, 마침내 그녀를 되돌려줄 수 밖에 없을 때가 왔다.
- p313

열 아홉살이던 케이시에겐 무지 잔혹한 연애의 기억이 생겼다. 단순히 사랑하다 이별하는 기억이었으면 좋았으련만, 사랑하는 사람이 빛을 바래가는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 연애라니. 케이시는 결국 수전을 그녀의 딸에게 되돌려준다. 필요하다면 그녀의 치료비도 지원하겠다고 연락하라고 말을 남긴다. 가끔씩 수전이 힘을 잃어가는 모습을 보러 간다. 수전이 그를 기억해낼 땐 그녀와 나눴던 연애의 기억이 선명해지다가 수전이 그를 타인으로 인식하면 그 기억은 색을 잃어간다.

어느 누구나 다 그러하겠지만 연애의 기억은 어찌 됐든 흐려질 수 밖에 없다. 시간이 지나서, 혹은 색깔이, 기억 속 내용이, 상대방에 대한 모습이. 그 기억을 방치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잘 기억해내려 한 케이시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수전과 함께 한 연애의 기억을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지 않으려 한 모습이 마지막 페이지까지 빽빽하게 담겨 있는 걸 읽고 있으니 숨이 차오르기까지 할 정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