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한복 입은 남자 >

 

역사인물 중에 미스터리한 출생이나 사망, 기록부재가 몇몇 있었다.

근세에는 유관순의 사망설이 부정되기도 했고(잔 다르크도 그런 설이 있긴하지만)

그 외에도 소현세자, 정조, 고종의 독살설도 분분하기에

알려지지 않고 속닥이는 이야기가 자극적인 상상에 부채질을 하는 듯 하다.

 

그 중에서도 항상 궁금해했던 장영실의 기록,

시대를 앞섰던 천재, 노비라는 신분을 넘어섰지만 그를 잡아챘던 불운.

영실에 대한 세종의 신임을 시기했던 조선의 사대부는

그가 설계한 임금의 연이 돌풍에 내려앉자 사약을 내려야한다고 주장했고

뒷배없던 영실은 목숨만 구명한 채 역사의 뒤로 사라져 소식이 없었다하니.

 

장영실은 어디로 사라진걸까?

영실의 자질을 사랑했던 세종의 선처로 죽음을 면했다고 하지만,

세종이 영실을 숨겨 자유로운 연구를 하게 했다면

장영실이 죽음에 이르기까지 많은 일들을 하지 않았을까 혼자 상상하곤 했다.

영실 이후의 수많은 발명들과 심지어는 한글도 장영실이 관련있지 않을까 하고.

 

그런 차에 우연히 보게된 박하출판사의

<한복 입은 남자 : 장영실의 미스터리>의 PDF가제본 사전리뷰단 모집공고.

무려 1000명이나 모집한다니 자신있게 응모했고

책이 나오기도 전에 가제본을 먼저 읽을 수 있었다.

역사인물 미스터리에 정말 부합했던 책 <한복 입은 남자 >.

조선을 떠난 영실이 둥근(?) 지구를 탐하여 유럽에 이르러

레오나르드 다빈치를 만났다는 결과를 앞에 두고서도

장영실의 발자취를 추적하는 일은 흥미백배였다.

 

액자식 다큐형식으로 시작하는 이 책은

'비차'의 복원모델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와 흡사한 부분을 두고

다큐를 제작하는 PD진석을 찾아온 엘레나 꼬레아가

그의 조상이 썼다는 일기 비망록의 존재를 드러내면서

'꼬레아'라는 성을 쓰게 한 그를 찾고 싶다하고

이를 방해하고자 하는 움직임들이 긴박하면서도 감정적 스릴이 있었다.

 

 

 

 

루벤스가 그렸다는 '한복 입은 남자'.

이 그림의 모델로 알려진 안토니오 꼬레아.

어린 소년이 임진왜란으로 일본에 끌려갔다가

이후 노예 신분으로 유럽까지 팔려갔다는 안토니오 꼬레아라는 인물이

당대 최고 천재화가 루벤스의 모델로 과연 합당했을까?

'한복 입은 남자' 모델은 혼혈같은 묘한 인상을 풍기며

위엄돋는 자세로 초상화와 같은 느낌을 준다.

무엇보다 어린 소년이 성인 의상을 갖춰 유럽에 입성했다!!

이 생각지도 못한 헛점에 허를 찔린 기분이다.

책에서도 이 부분이 한 등장인물에 의해 각인되고 있다.

 

마젤란의 세계일주보다 100 여년 앞섰다고 추정되는

조선의 존재를 몰랐던 시절에 등장한 이 그림이 뿜어내는 부담감이 던지는 의문 하나.

조선의 성인 의상, 철릭을 입은 그는 누구였을까.

 

신분제로 그들의 기득권만 지키고 싶었을 조선 사대부에 이어

출중한 장영실을 위험인물로 규정할 수 밖에 없었던 로마 교황청.

지구가 둥글다는 갈릴레이만으로도 골치 아팠던 그들에게

조선의 영실이 또 지구가 둥글다고 하니.

사대부의 화살을 막아준 세종이 있어기에 조선의 장영실이 가능했다면

로마 교황청의 공격을 막아준 그는 메디치 가와 다빈치가 아니였을까하는 상상.

장영실과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나누는 우정과 신뢰, 지혜와 지식들.

그 산물들인 수많은 발명품과 그림들, 스케치들.

 

추적하는 소설이 내 구미에 딱 맞기에

파일을 클릭하는 순간부터 끝내는 순간까지 눈을 떼지 않고 읽었다.

익숙치 않은 한복의 세세한 설명과 용어들 - 철릭, 단령, 담호 등이 호기심 있고

무엇보다 세간의 정설로 알려진,

안토니오 꼬레아라는 인물에 대한 부정이 진정이 닿아있어 흥미로웠다.

 

또 기록으로만 존재했던, 일명 비행선에 해당하는 비차,

다빈치의 스케치와 너무도 흡사한 부분도 궁금증을 유발하기 적절했다.

이 소설의 출발점이기도 했기에 기대가 많았었고

역발상적인 러브라인의 구성과 내용의 추리 구성이 아귀가 맞아

무리없이 읽기 좋았던 책.

 

"이제 모든 것을 벗어버리고 훨훨 날아가자."

재능을 맘껏 발휘할 수 없었던 장영실, 그의 심정이지 않았을까!

 

일전에 읽었던 최인호 님의 <제 4의 제국>,

망국 6가야가 일본으로 건너가 철기문화와 도기로 패권을 쥐게 되는 이야기.

망국이기에 기록조차 남지 않은 가야의 흔적과 그 중흥을 추적하는데 있어

추리에 이은 고증이 완벽하다 여겨져 아주 감명 깊었는데

이 <한복 입는 남자>는 그런 면에 있어 소설을 벗어나지 못했지만

또다른 가설로 만나게되었던 미스터리한 역사의 한 부분이였기에 만족스러웠던 책이다.

 

역사 기록 이전에 유럽으로 향했던 조선의 천재가 있었으며

중국과 교역을 제대로 트기도 전에 조선의 문물이 유럽에 닿았으리라는

상상만으로도 즐거울 이 일이, 소설임에도 극히 흥미로웠기에.

 

 

 

 

비거 혹은 비차로 불렸던 최초의 비행선의 복원.

실제 나르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