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폴 어빙 지음, 김선영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현대 인류에게 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대세이다. 18세기 산업혁명이후 산업생산의 급증과 더불어 인간의 삶에 미치는 모든 관련 산업들이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그중 에서도 의학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인간의 수명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있게 만든 토대가 되었다.
흔히들 사람들은 인구의 '고령화'하면 부정적인 생각이 강하다. 대부분 그럴것이다. 그도 그럴것이 신문, 방송등 거의 모든 매체에서 나오는 이야기가 고령화에 대한 비관적 전망일색 이기 때문일 것이다. 나이가 들면 병이들고 그에따른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삶의 빈곤화 및 젊은세대에게는 무거운 짐을 지울수 있다는 것이 이유이다.
실제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일어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젊은 인력의 부족으로 산업계 곳곳에서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로인해 동남아 저개발 국가들로부터 노동력을 수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등 사회적 비용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책이 보여주는 고령화는 상대적으로 이러한 암울한 고령화 사회가 아니다. 지구촌이 고령화 되어감에 따라 나이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 사회적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노인이 되면 좋은점이 무엇일까 하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만든다. 실제로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의 고령화는 피해갈 수 없는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제 이에 맞는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고 본다.
생활속 작은 부분에서부터 법률,행정,의료서비스 등등 사회전반적으로 고령화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예측해보고 경제적 측면에서도 발생할 수있는 장점들을 적극적을 살려 야 한다. 비관만이 능사가 아니다. 모든것에는 명과암이 있지않은가...
저자는 예전의 노인과 지금의 노인(베이비 부머 세대)들은 경제적, 사회적지위, 금전적 인 측면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그만큼 노인들은 과거에 피해 사회적 위치나 영향력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예전의 뒷방 노인네들이 아니라는 얘기다. 100세시대에가 현실화 되어가고있는 지금 60~70대는 노인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워 질때도 머지 않은것 같다. 이와같은 잉여인력들을 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구촌의 고령화는 장미빛 미래를 맞이할 수도 있을것이다.
결국 적극적인 고령화 정책을 통한 미래사회를 준비해 나가는것이 최선책일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