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의 생각법 - 생각의 지름길을 찾아내는 기술
마커스 드 사토이 지음 / 북라이프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국민중에 대다수는 학생시절 낑낑대면서 수학 문제를 풀었던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식으로 문제를 만들 수 있는지, 왜 로그, 수열, 미적분을 배워야 하는지 푸념하며, 수학공부를 했었지요.
대체 수학자들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길래 우리에게 이런 시련을 주었을까요?

이 점이 궁금하여 <수학자의 생각법>이란 책을 펼쳐 보았습니다.
이 책은 인류가 지난 2000년 동안 개발해놓은 기술 문명 속에서 마주치는 복잡한 문제들을 다양한 수학적 사고방식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패턴의 지름길부터 시작하여 계산, 언어, 기하학, 다이어그램, 미적분, 데이터, 확률, 네트워크 불가능의 지름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처음 일상생활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방법은 이해하기 쉬웠는데, 미적분, 데이터로 가면서 점점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책을 읽을수록 단편적으로 이해하였지만 수학적 방법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무수히 많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특히 로그가 무수한 수를 간단히 만들기 위해 발명되었다는 사실은 제게 충격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왜 우리가 수학을 하여야 하는지 이 책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모든 사람이 2차 방정식을 푸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언제 그런 지식이 필요하겟는가? 정작 필요한 것은 대수학과 알고리즘에 숨겨진 힘을 이해하는 능력일 것이다.'

AI시대에 더 다양한 관점과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북라이프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