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세의 밤 - 서양 중세 사람들은 밤을 어떻게 보냈을까
장 베르동 지음, 이병욱 옮김 / 이학사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암흑시대로 일컬어지는 중세. 그 시기의 밤은 어땠을까. 책은 중세의 밤에 벌어지는 각종 폭력과 범죄로부터 시작한다. 조명기구가 발달하지 않은 시기였기에 밤은 더욱 알 수 없고 위험한 시간대였다.
하지만 서양 중세인들이 이 밤의 폭력성에 당하기만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들은 밤에 일을 하기도 하고 야경대를 꾸려 순찰을 돌았으며 야회를 열어 사교의 장을 만들기도 했다. 결국 이 밤은 종교적 성화의 시간으로 신에게 가장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시간으로까지 발전한다.
저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인들이 밤을 정복한 것 같지만, 어둠에 대한 진지한 통찰이 없기에 오히려 밤의 공포에 더 취약하다는 점을 책의 말미에 짚는다.
책은 상당히 재미있게 읽힌다. 미시사 책이 으레 그러하듯 대부분의 분량이 그 시기의 문헌에 바탕을 둔 예화들이 차지한다. 한편 읽기에 조금 불편한 점도 있었는데, 물론 사료의 성격 탓이겠으나 여성에 대한 하대가 보인다. 어둠과 마찬가지로, 사료의 주인공인 남성에게 여성이 혐오와 고뇌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음은 사실이니 그렇다 치자. 하지만 필자가 스스로 난자가 정자보다 열등하다는 견해를 드러낼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책의 정리는 서문에 잘 되어 있다.
“중세인들은 사랑, 수면, 죽음이 연결되어 있는 이 피할 수 없는 밤을 자신의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야만 했다. 밤은 무례한 시간으로부터 사랑을 감추어준다. 수면은 매일 반복되는 일이지만 결국은 영원한 것, 즉 죽음이 된다. 이러한 밤은 태초부터 악과 동일시되어 왔다.
신은 빛이기 때문에 어둠은 악마의 영역 안에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세인들은 중세 특유의 방식으로 밤과 밤이 불러일으키는 무서움을 길들여 왔다. 테크닉, 즉 인위적인 행위에 의존하기보다는 무의식적 또는 의식적으로 신을 향해 몸을 돌림으로써 밤을 승화시켰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