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풍미한 16인의 소울메이트 - 은쌤이 들려주는 역사적 만남 이야기
은동진 지음 / 이담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투스와 에듀윌에서 한국사 대표강사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은동진 선생님의 책입니다.


은동진 선생님은 "어떻게 하면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사람들에게 전해줄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늘 한다고 합니다.

또 은동진 선생님은 어린이 역사 교육 드라마 슈쾅 타임머신에도 출연 중이십니다.

찾아보니 네이버 TV에 영상이 있어 구독 신청을 하였습니다.^^

책에서 읽은 내용이 영상에도 담겨있습니다.


조선을 풍미한 16인의 소울 메이트 제목을 보고 흥미를 느꼈습니다.

조선의 인물들을 2사람씩 짝지어 소개하는 점은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책을 받기 전 저는 세종대왕과 장영실, 정조대왕과 정약용 정도를 생각했습니다.

책을 받아보니 빙고~~ 이 네 분이 계시네요. 조선에서 이분들을 빼놓고 이야기를 할 수 없겠죠?

책에는 모두 8쌍의 소울메이트가 나옵니다.

좋았던 점은 책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역사를 공부할 때는 역사 자체만을 생각하기 보다 역사 속에서 현재의 나를 생각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최태성 선생님께서는 역사 공부는 인물들을 만나는 시간이라고 이야기하시기도 하였습니다.

은 동진선생님은 각 인물을 소개하는 도입 부분에서 현재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이점이 정말 좋았습니다..

그리고 많은 자료들을 통해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인물들의 이야기를 소개해 줍니다..

이 책을 읽고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사가독서" 일정 기간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하도록 하던 제도

세종대왕 때 사가독서라는 휴가가 있었다고 합니다. 세종대왕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학자들이 조정의 업무 때문에 책을 읽을 수 없다는 현실을 알고 일정 기간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하도록 하던 제도라고 합니다. 이 기간 동안 경비는 나라에서 부담하였다고 합니다. 사가독서의 혜택을 받은 신하는 자유롭게 책을 읽고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 사가독서는 영조 때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19세기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은 신하들에게 3년마다 1번씩 유급 독서 휴가가 있었다고 합니다. 셰익스피어 작품을 5권 정독하고 독후감을 써 내는 휴가인데 이를 셰익스피어 휴가라고 합니다. 정말 멋진 휴가제 도입니다.

세종대왕과 함께 조선의 왕 중에 가장 사람 받는 정조대왕은 정조대왕 편에서뿐 아니라 거상 김만덕이나 김홍도 편에도 등장합니다. 역시 정조대왕님

정조대왕은 수원 화성을 지을 때 왕의 사유재산인 내탕금을 화성에 투자하고 화성 주민에 세 세금을 면제하고 주변 상인이나 장인들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주어 화성에 사람들이 살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했다고 합니다. 또 화성 축조 때 공사에 참여한 인부들의 품삯을 지불한 이야기는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정조대왕은 "집집마다 부유하고 사람마다 화락하는 "낙원 도시를 꿈꿨습니다.

많은 정치인들이 자기의 이익 챙기기보다 이런 세종이나 정조대왕의 마음을 가졌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가장 인상적인 인물은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입니다.

현모양처 신사인당보다 "빛의 예술가 신사임당"으로 기억되길~~

우리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신사임당을 너무 좋아하죠.. ㅋ

신사임당을 이야기할 때 앞에 현모양처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닙니다.

그래서 5만 원권 지폐에 신사임당을 넣고자 할 때 부계 혈통을 성공적으로 계승한 현모양처로 지지되고 있다는 이유로 일부 여성 단체들이 반대를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신사임당은 필요할 때 제 목소리를 낸 시대를 앞선 여인이었습니다.

자녀가 스스로 재능을 키워 갈 수 있도록 응원했습니다.

신사임당은 17세기 율곡의 어머니로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송시열은 성리학의 대가이자 스승이던 율곡 이이를 띄우기 위해 신사임당의 이미지를 천재 예술가가 아닌 그저 현모양처의 이미지로만 부각시켰다고 합니다.

이후 노론 계열의 유학자들에 의해 신사임당의 현모양처 이미지를 정치적 목적과 의도에 따라 신화 만들기 프로젝트를 했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에도 그 이미지는 계속되었고, 1937년 중일 전쟁을 시작으로 전쟁에 미친 일본은 신사임당은 조선인 징병을 독려하기 위한 이념적 도구로 사용합니다.

조선의 젊은 남성을 동원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어머니들을 설득하기 위해 신사임당 이미지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광복 이후 특히 박정희 정부의 역사 정책으로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한다는 명목으로 충성과 효를 강조하며 신사임당의 현모양처 이미지는 절정에 달하며 신사임당은 민족의 어머니가 되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신사임당을 오만 원권의 주인공이 아닌 현모양처의 표본이 아닌 조선시대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줄 아는 빛의 예술가로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신사임당에 비해 불행한 전채 예술가 허난설헌의 이야기는 마음 아프게 다가옵니다.

허난설헌은 자신에게 세 가지 한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허난설헌의 삼한

남자가 아닌 여자로 태어난 한, 남편 김성립과 결혼한 것, 중국이 아닌 조선에 태어난 한...

이 이야기를 읽는데 눈물이 납니다.

허난설헌은 죽으며 자신의 글을 다 태워달라고 유언합니다. 그러나 차마 태우지 못한 그녀의 글은 중국과 일본으로 전해져 큰 인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웠던 허난설헌..

허균이 역적으로 몰려 죽으면서 허난설헌의 작품은 표절 시비까지 일었다고 합니다.ㅜㅜ

많은 사람들에게 그녀의 주옥같은 작품이 읽혀지길 바랍니다.

조선을살았던 16명의 인물을 사진과 그림, 지도, 연표, 사료등 다양한 자료와 함께 만나본 사람이야기를 통해

지도자는 어떤 모습을 해야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재능을 어떻게 살리고,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되는 재미있고 좋은 책이었습니다.

은동진 선생님의 다음 책도 기다리겠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쓴 솔직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