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을 짓읍니다
박정윤 지음 / 책과강연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밥은 먹었니?”

실수하고 넘어질 때 아무것도 물어보지 않고 다그치지 않고 밥 먹었냐는 그 한마디를 들으면 그 어떤 위로의 말 보다 큰 위안을 받게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같이 맛있는 음식을 먹었던 추억이 생각나서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책의 제목이 너무 이상합니다. “밥을 짓읍니다.” 그냥 지나치려 해도 왜이리 신경이 쓰이는 걸까요? 뭔가 이유가 있겠지? 그 이유가 궁급해 집니다. 작가는 이 맞춤법이 세대를 구분하는 방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엄마세대는 읍니다. 지금의 세대들은 습니다....아하~~


 “밥을 짓읍니다.” 이 책은 할머니의 음식에서 어머니의 음식으로 이어지는, 그리고 아이들을 위해 준비하는 식탁 위의 이야기를 풀어 놓은 음식에세이입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먹었던 음식에 대한 시간과 공간들 그 소중한 이야기들을 추억으로, 계절로, 특별함으로, 따뜻함으로 담아냅니다.

박 정윤 작가님 사진을 보니 너무 세련 되셔서 음식을 잘 못할 것 같으신데 책을 읽어보니 음식 솜씨가 정말 좋으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원하면 뚝딱 음식을 해 주십니다.^^


때로는 입에 닿지 않아도 마음에 닿았던 음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음식을 만드는 레시피도 알려줍니다. 음식 에세이만 있을 거란 생각을 했는데 레시피가 있다 보니 뭔가 보너스를 받은 느낌이 듭니다. 작가의 레시피는 작가만의 방식으로 알려 주고 또 양념 레시피까지 열어 줍니다. 저도 김밥을 많이 만드는 편인데 작가님의 김밥 레시피는 독특합니다. 한번 해 봐야겠습니다.

음식은 단순히 배만 채워주는 것이 아니고 마음도 채워줍니다. 또 맛있는 음식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음식을 준비하고 즐겁게 맛있게 먹는 가족들의 모습만큼 행복한 것은 없을 겁니다.

작가의 음식에 대한 추억을 읽으며 저도 그 음식에 얽힌 추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기도 하였습니다.

엄마는 음식 하는 것을 좋아하셨고 맛있게 만들어 주셨습니다. 문제는 너무 많이 한다는 겁니다. 만두를 해도 치자물을 들여 노란 만드피로, 시금치 물을 들여 초록색 만두피로, 당근 물을

들여 주황색 만두피를 만들어서 만두를 만들었습니다. 가끔 만두하는 날은 힘들어서 집에 일부러 늦게 들어가곤 했습니다. 만두를 쪄도 쪄도 끝이 나지 않았습니다. 다 만든 후 색색이 만두를 다 나누어 담고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엄마는 음식의 힘을 믿고 계셨습니다. 고마음을, 정을, 사랑을 음식으로 표현하셨습니다.. 지금은 그 음식의 힘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조금은 알 것 같습니다.

책을 읽으며 요즘 음식에 대해 소홀했던 것을 반성하기도 했습니다. 내일은 가족들에게 물어봐야겠습니다.

뭐가 먹고 싶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