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로 쓰고, 함께 살다 - 조정래, 등단 50주년 기념 독자와의 대화
조정래 지음 / 해냄 / 2020년 10월
평점 :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을 쓴 한국 문학의 큰 산 조정래 선생님께서 등단 50주년을 맞이했다고 합니다.
50주년을 맞이해 태백산맥과 아리랑이 개정판으로 출간되었습니다. 그리고 “홀로 쓰고, 함께 살다.”도 함께 동시 출간되었다고 합니다.
조정래 선생님 등단 50주년을 축하드립니다.
“홀로 쓰고, 함께 살다.”
이 책은 조정래 선생님의 등단 50주년을 기념해 독자들의 질문을 받아 그에 답하는 형식으로 엮은 산문집입니다.
“홀로 쓰고, 함께 살다.”
책의 제목에서 선생님의 50년 세월을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선생님이 그 반백년의 세월 동안 치열하게 글을 쓰시며 우리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이었을 가를 생각하였습니다.
책에서 그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겠지요..
책은 3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부에서는 문학과 인생, 인생과 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문학 이야기에 대한 질문이다 보니 문학 지망생들의 질문이 많았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노력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셨습니다.. 선생님의 부인이신 시인 김초혜선생님은 한 번도 작가의 레일 위에서 내려온 적이 없는 분이라고 하셨습니다.

아리랑과 한강을 연재하며 한 번도 원고를 늦게 보낸 일이 없다고 하시니 선생님의 일을 하시는 방법이 너무 놀랍고 존경스러웠습니다....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때때로 눈물이 났습니다. 선생님의 50년 작가 생활이 죽음과 맞닥뜨리는 노력의 시간이 마음에 닿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노력을 이기는 재능은 없다.. 노력 없는 재능은 열매를 맺지 못하는 꽃과 같다.

선생님은 자신의 재능을 믿지 않고 노력만을 믿었다고 하셨습니다. 원석이 빛나는 보석이 되려면 반드시 갈고닦는 노력을 거쳐야먄 한다고 하시면서 말입니다.

자기를 사랑하듯 자기의 직업을 사랑 하라에서 김경석 씨가 선생님의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 보아서 죄송하다는 이야기에 선생님께서는 고맙고 고맙다고 답을 주십니다. 작가는 작품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많은 사람들이 읽어주는 것을 최고 최대의 행복으로 여긴다고 말씀해 주십니다. 그리고 가난했던 1980년대 후반에 대학생 아들이 태백산맥을 읽어야 한다고 하는데 책값이 너무 비싸니 선생님께 어찌 좀 싸게 사 달라는 사연에 맘이 찡해집니다. 요즘은 읽고 싶은 책을 사 준다 해도 필요 없다고 하니 씁쓸하기도 합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스마트 폰에 책읽기를 빼앗겼습니다.

책을 읽으며 가장 인성적인 부분은 작가의 기본 요소는 역사의식과 사회의식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정치와 문학의 이야기는 제가 문학을 보는 또 하나의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문학은 인간의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인간에게 기여해야 한다.”
“ 저는 저의 조국을 그 누구보다도 뜨겁게 사랑하는 존재로서 글을 쓰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저의 사랑하는 손자와 그 친구 세대들이 오늘 같은 세상이 아닌, 세계 상위 그룹을 이루는 행복한 나라에서 살기를 소망해서 이러한 소설을 쓰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 20년 동안 집필 계획을 갖고 계시다니 반가운 마음으로 조정래 선생님의 책을 기다 리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