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독서평설 2019.12 독서평설 2019년 12월호
지학사 편집부 지음 / 지학사(잡지) / 2019년 11월
평점 :
품절


아이가 어렸을 때는 책도 곧잘 보더니 점점 커가면서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신문을 구독해서 보기도 해 보았지만 읽게 하는 것은 무리가 있었습니다. 아이가 어릴 때 새로운 책들을 늘 접하게 해서 책을 읽곤 했는데 커가면서 그런 일들이 점점 힘들어집니다. 아시는 분이 논술 잡지를 구독하면 좋다고 권해주셨습니다.... 뭐가 있을까요?

고교 독서평설이란 월간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모든 논술 월간지가 그렇겠지만 독서평설도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되어 있습니다.

고교생들에게 유익한 입시 정보부터 소설, 진로독서, 사회문제,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비문학등 다양한 읽을거리가 있습니다.

고교평설의 첫장은 이대건 씨의 인터뷰 기사입니다. 책마을 해리에 대한 글이 실려있습니다. ‘책씨앗을 심는 마법사라는 글이 참 좋습니다. 폐교에 상품이 아닌 진짜 책을 만들어 가는 모습에 응원을 보내고 싶습니다.

궁금했던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글을 읽어 보니 영화가 더욱 궁금해 집니다.

정시확대에 대한 글도 관심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정시비중 상향 논란에 찬성과 반대 두 입장에서 색각해 볼 수 있도록 두가지 입장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또 고교생들이 1년의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정보를 통해 이번 겨울에 대한 계획도 세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강응천의 역사 강의- 갑론을박 한국사였습니다. 이번12월호에는 묘청과 김부식의 서경천도운동을 둘러싼 역사적 논쟁을 다루었습니다. 신채호선생님의 조선 역사상 일천 년래 제일 대사건이라는 서경천도 운동에 대해 잘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꼭지는 이번호가 마지막이라네요.. 재미있는 역사 정보를 알 수 있는 꼭지가 다시 생겼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논술이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아이들..

논술을 잘 하는 방법은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써 보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을 듯 합니다. 매일 매일 부담없이 읽다 보면 생각들의 깊이가 쌓일것입니다. 한쪽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입장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들을 매달 만난다면 다양한 사고를 하는데 더 없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들 솜씨에 시를 써 보내어 채택이 되면 서평도 해 주시니 도전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다양한 정보와 재미있는 읽을 거리가 많은 고교 독서평설 울 아이방에 스을쩍 놓아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