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시게마츠 기요시 지음, 이선희 옮김 / 예담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엔 출시일정도 다가오고 최근엔 몸살도 앓아서 책을 자주 읽지 못했는데 그나마 위즈덤하우스의 퍼플소셜평가단 2기 덕분에 십자가라는 소설을 읽었다. 일본 작가 시게마츠 기요시의 소설인 '십자가'는 지난 번 들은 이동진의 빨간책방의 한 코너에 등장하신 이선희씨가 번역했기에 더욱 반가운 마음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왕따 문제

십자가는 왕따를 당해 스스로 자신의 집 감나무에 목을 메달은 한 소년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정작 이 소설의 주인공은 왕따를 당한 소년은 아니다. 왕따를 당한 주변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다루고 있다. 왕따가 가장 친한 친구로 생각했던 학생, 왕따가 짝사랑하던 여학생, 그리고 그 학생의 부모님. 이 왕따 사건을 조사하던 기자 등.


사실 왕따 문제는 비단 일본의 문제는 아니다. 한국 내에서도 왕따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인지 '십자가'를 껄끄러움 없이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소설은 그저 왕따는 나쁜 것이고 슬픈일이라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글은 아니다. 왕따를 당한 한 소년이 결국 목을 메고 자살한 후에 남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심지어 그를 괴롭혀 죽음으로 몰아간 사람에서부터 그의 부모님에 이르기 까지.



십자가의 의미

목을 메고 자살한 왕따의 죽음을 가장 힘들어할 사람은 누구일까? 그가 자라온 것만을 바라보던 부모님? 혹은 그의 부탁을 거절해 죽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짝사랑녀? 혹은 왕따를 당할 동안 도와주지 못하고 지켜보던 친구, 아니 방관자들? 어쩌면 오히려 그를 괴롭혀 죽음으로 몰고 간 학생들이 힘들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아마도 왕따 사건을 통해 어떻게 해서든 주위 사람들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정확히 남은 사람들은 등에 십자가를 짊어진다고 표현해야 맞을 듯 싶다. 십자가를 등에 짊어진 사람들은 그 무게에 휘청거리며 때어 내려고 하지만 사실 십자가는 그 자신의 몸과 꼭 달라붙어서 땔 수가 없다. 십자가는 결국 자신이 짊고 가져가야 할 숙명과 같은 셈이다

.

왕따당하여 자살한 학생의 사건에서 잘못한 사람은 누구일까? 괴롭힌 사람이 가장 나빴다라는 말은 어쩌면 가장 불필요한 말이 아닐까 싶다. 그를 괴롭힌 사람, 그리고 그 괴롭힘을 방관한 사람, 그리고 괴롭힌 학생들을 학교에 잡아두며 학생을 괴롭히게 만든 선생님마저, 어쩌면 학교 생활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지 못했다고 자책하는 부모님까지 그들은 자신의 등에 십자가를 짊어지고 살아가게 된다. 십자가는 사라지지 않는다. 언젠가 이 무게가 익숙해질 때가 오겠지만..



화자의 성장

이 책은 약간 특이한 구성을 취한다. 이 책의 시점은 3인칭인데 소설 속에서 왕따 학생이 죽으면서 편지에 적은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왜 자신이 가장 친한 친구인지 이해를 하지 못한다. 그가 자신의 이름을 적음으로서 왕따 사건의 또다른 희생양이 되었다고 믿는다.


하지만 그는 고등학교에 들어가고, 대학교에 들어가고, 그리고 결혼을 하고, 한 아이의 아빠가 되어가면서 짊어진 십자가를 깨닫고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아이가 가장 친한 친구라고 말하는 한 친구를 보면서 그때서야 애처럼 울게된다. 이미 죽어버린 자신을 가장 친한 친구라고 적은 그 친구의 마음을 그때에서야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을 참 좋아한다. 이 소설 '십자가'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왕따 사건에 대해 솔직하기까지한 한 명의 배역을 내세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식이 전환되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이 소설을 읽을 다양한 독자들을 커버하고 동시에 인식을 확장시켜 준다고 생각한다.


솔직하게 말하면 '십자가'는 대담한 소설이다. 작가는 왕따 학생을 비롯해 다양한 주위 사람들의 내면과 입장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하나하나가 짊어질 십자가를 표현한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부끄러운 점은 나 역시도 왕따사건이 발생하면 나는 안했으니 괜찮아라는 생각으로 방관해왔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