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배우는 게임 프로그래밍 - 수학과 물리,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디자인 패턴으로 익히는 게임 개발 필수 지식
박태준.박효재.윤하연 지음 / 한빛미디어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이야기할 책은 《한 권으로 배우는 게임 프로그래밍》이다. 게임 기획자가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은 항상 존재하지만, 나는 배우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배움의 목적은 직접 코드를 작성하기 위함이 아니라, 기획자 본인이 의도한 내용을 프로그래머들이 실현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매커니즘을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캐릭터가 앞으로 걷는 동작을 구현한다고 해도, 단순한 '이동' 이상의 정의가 필요하다. 손과 발의 움직임은 어떻게 표현될지, 이동 속도와 방향은 무엇인지, 멈추는 시점은 언제인지 같은 세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플레이어 관점에서 이해하기 힘든 영역이며, 기획자가 이를 프로그래머와 함께 정의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


시중에 다양한 프로그래밍 관련 책들이 많이 있지만, 앞서 얘기한 것처럼 매커니즘만 이해하기에는 사실 과한 느낌이 있다. 그래서 보통은 유니티를 비롯해 간단하게 게임을 만들어볼 수 있는 입문서를 추천하는데, 좀 더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싶다면 책 《한 권으로 배우는 게임 프로그래밍》도 좋은 선택인 것 같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은 게임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개발자에게 중요한 이론과 지식을 다룬다. 1장은 개발 환경 구성과 게임 세계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2D/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물리 엔진의 기초를 다루며 초보자도 쉽게 따라갈 수 있는 단계별 구성을 제공한다. 2장은 어려운 수학과 물리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위치와 이동, 점프 등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 벡터, 각도, 회전 등을 실제 코드와 함께 설명하며, 주석과 변수명이 친절하게 쓰여 있어 게임에서 수학과 물리가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3장은 랭킹 시스템 구현을 위한 정렬 로직이나 AI 길 찾기 구현 등 코드보다는 주요 게임 시스템을 예시로 들며 개념 위주의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은 프로그래머는 물론이고, 도표를 적절히 활용하여 개발 경험이 없는 기획자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쓰여 있어 매우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4장은 객체 지향의 기본 개념과 게임 디자인 패턴을 다루며,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를 피하기 위한 안티 패턴도 포함하고 있다. 코드가 아닌 그림과 개념 위주의 설명으로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작성되었으나, 일부 프로그래밍 용어는 약간 어렵게 다가올 수 있다. 그래도 기존 프로그래밍 서적과 비교했을 때 확실히 접근성이 뛰어나다.


《한 권으로 배우는 게임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머를 위한 책이면서도, 기획자와 게임 개발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도 훌륭한 참고서가 될 수 있다. 게임 개발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개념들이 구체적으로 다가오며, 이를 통해 기획자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프로그래머에게 보다 명확히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의 강점은 쉬운 설명이다. 기존 프로그래밍 서적에 비해 훨씬 쉽게 쓰여 있어 초보자도 접근 가능하다. 다양한 게임 시스템을 사례로 들고 있고, 코드와 함께 직관적인 주석 및 변수명이 제공되어 게임 개발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