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 과학적으로도 청소년기에 겪는 역경은 뇌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다. 물론 역경을 극복하는 것이 쉽지는않다. 따라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아이들에게 실패를 더 많이 허용할 필요가 있다. 보다 정확히는 아이들에게 실패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태도와 마음가짐을 심어주어야 한다. 역경에 굴하지 않을 수있는 힘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데서 시작되고 이것은 실패를 - P1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패를 극복하는 첫 단계, 자기 성찰

자기 주도 학습의 최대의 적은 ‘자기 자신을 성찰하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을 성찰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그냥 하던 대로 하면서 살게 된다. 아무 비판 없이 남들이 하라는 대로, 어제 했던 대로, 부모님이 시키는 대로 살게 되는것이다.

아인슈타인은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라고 말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성적이 향상되길 바라는 것 역시 말이 안된다. 그러므로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변화가 필요하다. - P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적이 오르지않는 이유를 아이에게 찾아내라고 윽박지르는 것이 아니라 이런저런 질문을 통해 아이도 몰랐던 원인을 함께 찾는 것이다. 좋은 질문은 아이가 핵심을 놓치고 있을 때도 힘을 발휘한다. 어떤 과목을 잘하고 싶다면 그것을 잘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해 알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 P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 주도 학습은 혼공과 구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좀 더 그럴싸한 이름 덕에 여기저기서 남발되고 있다. 자기 주도 학습의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가 혼공일 뿐 이 둘을 똑같다고 생각하는 순간 아이를 꽉 막힌 독서실로 밀어 넣게 된다. 진정한 자기 주도 학습은 반드시 본인의 의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중략)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그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왜 잘하고 싶은지‘ 이유를 생각해보는 것이다. - P1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일 수있는 좋은 질문법이 있었는데 아이에게 칭찬을 해주는 다양한 방식중 하나인 이 질문은 내가 들어도 기분이 좋아졌다. 바로 "너는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었니?"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 하나로 아이는 순식간에 위치가 격상된다. 질문을 통해 부모가 아이에 대해 감탄하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 P1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