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 성공한 사람들이 절대 알려주지 않는 진짜 자기계발
이혁백 지음 / 레드베어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계발 열풍이 불지만 항상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아무리 좋은 것을 알려줘도 할 의지가 없다면

할 의지가 있더라도 시간이 없다면 실천할 수 없는 법!




그래서 이 책에서는 책쓰기라는 자기계발 방법을 알려줌과 동시에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하지만 난 안되겠지'

하고 책을 덮을 사람들에게

실천할 시간을 마련할 방법과

그로 인해 겪게 될 변화들을 반복하여 강조함으로써

아침에 조금만 더 일찍일어나 생기는 시간 1시간을 책쓰는 시간으로 투자함으로써 나의 꿈을 실현하고 자신의 존재 가치를 높일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이렇게 생긴 활동지도 들어있어 나는 무슨 책을 쓸 것인지에.대해 생각하게 한다.

그러나 이런 활동지들이 많지 않다는게 단점.

카페나 이메일로 연락하면 코칭을 해준다니 괜찮을 것 같기도 하다.

네이버카페 '두번째 인생학교'

http://cafe.naver.com/Shareyourstory

네이버카페 '책쓰기로 인생을 바꾸는 사람들'

http://Cafe.naver.com/SuccessPeople

페이스북

www.facebook.com/ShareYourBookStory

이메일

midas_bear@naver.com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3장이었다.

책쓰기를 어떻게 하면 되는지 과정 순서대로 설명을 해주는데

장의 제목 정하는 부분과

집필계획서를 세우라는 부분이 정말 도움이 됐다.


장 제목은 보통 문제점발견->해결 이라는 큰 흐름을 따라 전개되며, Why-> Wht-> How의 순의 내용이 담겨있다고 한다.

어쩐지 요즘 나온 책들을 읽을 때, 절반부분을 읽고 나서야 유용한 정보들이 많이 나온다더니 이런 목표였나보다.

이런 큰 흐름을 잡고 소제목인 작은 꼭지들의 흐름을 정한 후 초고를 쓰기 시작하라고 했다.


질필계획서는 '제목과 부제, 저자프로필, 장르및 분야, 기획의도(집필동기), 원고내용요약, 대상독자층(핵심/확산독자), 장점 및 유사/경쟁 도서와의 차별성, 홍보아이디어, 집필일정'을 담은 계획서인데, 이를 통해 책쓰기를 꾸준히 하는 효과도 있지만 나중에 출판사에 보내는 때에 출판기획서의 초안으로도 쓸 수 있다고 한다.

하루 1시간씩 책을 쓰는 것의 뿌듯함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데에서 나아가 이 책을 실제로 출판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독자를 믿는 것 같이 느껴졌다. 이 부분이 바로 이 책이 다른 유사/경쟁 도서와의 차별성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책 쓰기에 정말 가까워진 기분이 든다.

일단 장르와 콘셉 정하기부터 해야지!

사람들이 내게 늘 묻는 분야가 무엇이지? 혹은 사람들이 어떤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 할 때 항상 하는 질문이 무엇이지?

에 대한 질문을 나에게 던져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