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빨강은 없다 - 교과서에 다 담지 못한 미술 이야기 창비청소년문고 32
김경서 지음 / 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선생님과 학생이 대화하는 형식으로 풀어낸 책.
여행을 다니면서 여러 작품을 보게 되어 미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만
미술관련 책을 찾으면 미술사만 나와서 재미가 없는 것이 아쉬웠다.
그러나 이 책은 학생과의 대화이기에 수준도 어렵지 않고 재미도 있다.
또한 미술작품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이나 질문들을 보라학생이 물어봐줘서 궁금했던 것들이 해결되기도 했다.




예술이란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할까?
미술작품에서의 독자의 역할은 무엇일까?
작품에 작가의 정치적인 생각을 넣어도 될까?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등 다양한 의문이 해소되어 좋았다.





더불어 책 속 선생님의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했지만
공포영화의 귀신들이 파란색인 이유는 빨강의 보색이라서 죽은 사람의 잔상이 남을 때 파란색으로 남아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고 한 말은 꽤나 설득력있어서 그동안 귀신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무서움이나 두려움이 조금 덜 해진 기분이었다.

그리고 앞서 말했던 
작품을 읽는 다는 것.
내가 그동안 여행지에서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갈 때 궁금했던 것들이다.
어떤 말을 하고자 하는지 몰라서 미술책을 읽으려하다가 재미없어서 안읽게 됐는데
역시나 배경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줬다.
미술사책, 세계사책을 더 열심히 읽어야겠다.




이렇게 생각할 거리가 많으면서도
청소년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청소년의 수준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해서
쭉쭉 읽어나가다가 평소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의문에 대해 다룬 부분에서 잠시 멈춰 함께 생각을 해나가는 식으로 읽으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은 작품들을 보다가, 삶을 살아가다가  새롭게 생기고 없어지기 마련이니 항상 옆에 두고 미술에 대해 알고싶을 때 언제든 꺼내 읽으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