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 감 - 작가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 창비청소년문고 31
김중미 지음 / 창비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괭이부리말 아이들>, <모두 깜언>, <그날, 고양이가 내게로 왔다>

<종이밥>,<내 동생 아영이>, <똥바다에 게가 산다>,<꽃섬 고양이>, <조커와 나>,<나의 동두천>,<모여라,유랑극단>, <6번길을 지켜라 뚝딱>,<다시 길을 떠나다>,<꽃은 많을수록 좋다> 등을 지은 김중미 작가의 강연집이다.





 

사실 아이돌 콘서트나 가수 콘서트에 가려면 관련된 곡들을 알아야 갈 수 있다는 생각과 마찬가지로

작가의 강연에 참석할 때에는 작가의 작품과 그 삶에 대해 이미 알고 있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쉽사리 강연에 참석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중미 작가의 강연들을 모아놓은 이 책을 보며 강연은 책에 대한 것만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작가가 책을 통해 하고 싶었던 말, 책에는 담기지 않았지만 작가가 삶에서 실천하고있는 바가 담긴 이 책은 내가 그동안 가지 않은 강연들에 대한 아쉬운 마음을 불러일으켰다.



 

김중미 작가가 학교 강연에서 나눈 세상, 사람, 문학에 대한 속 깊은 이야기들을 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책으로 펴내어 모든 사람들이 세상의 가장자리에 있는 이들의 존재를 알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한 이 책은

1부에서는 작은 용기가 세상에 틈을 낸다는 제목으로

용산, 장애, 학생인권, 다문화가정, 유기견과 유기묘, 재개발, FTA, 인종차별, 양심적병영거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말과 공감되는 짧은 스토리로 만들어내어 누구라더 깊게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2부에서는 문학과 세상에 대한 물음들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에서 나왔을 작가라는 직업에 대해, 작가의 삶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들로 구성되어있다.




 


어쩌면 딱딱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1부를 흥미롭게 만드는 건

공감되는 스토리와 쉬운 언어사용도 있겠지만,

내가 읽은 작가의 그 작품이 이러한 경험에서 나온 것이겠구나 하며 

그 작품의 내용을 다시 떠올려보는 것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작가의 모든 작품을 읽어본 것이 아니기에

내가 읽은 작품들을 떠올리며, 

이 경험이 이런 작품을 만든 것이겠지?

예측하며 읽어보다가도

내 예상과 다른 책이 나오면, 이 책은 이 경험으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궁금해지기도 하고,

그 작품을 떠올리게 하는 경험이 아니었는데도

이 경험이 내가 읽은 그 작품의 모티프가 되었다는 말을 보고 나면

경험을 다시 읽어보고 작품을 다시 기억해보고,

기억이 나지 않으면 작품도 다시 읽어보게하는

매우 신기한 읽기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게 바로 능동적, 적극적 독자의 자료 찾으며 읽기 과정이겠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도 마음에 담기는 말들을 많이 해주고 있어 강연집 자체의 내용도 와닿는다.


진짜 잠든 사람을 깨우는 건 쉽지만, 잠든척 하는 사람은 깨우기 어렵다


잠든척 하는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진짜 잠든 사람도 되지 않기 위해 열심히 관심 가지고 주변을 돌아보며 많은 생각을 하며 살아야겠다.

그리고 작가 강연도 열심히 참가해보아야겠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