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튜이션 - 40년간 연구한 인지과학 보고서
게리 클라인 지음, 이유진 옮김, 장영재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학문적으로 볼 때 의사결정은 크게 두 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사실과 데이터를 근거로 한 분석적 의사결정과 또 다른 분야는 직관에 의한 의사결정이다. 이 책은 데이터가 강조되는 분석적 의사결정 뿐만 아닌 직관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지닌 힘의 근원을 소개함으로서 더 나은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이 책은 막연하게 생각되는 직관이라는 것에 대해서, 자세하게 관찰하고 분석을 함으로써 그러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한 메커니즘과 그러한 힘을 기르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의사 결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좀 더 다른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여러가지 다양한 힘의 근원인 직관(패턴 인식, 큰 그림 보기, 상황 인식), 멘탈 시뮬레이션 (과거와 미래 관찰), 레버리지 포인트를 활요해 불분명한 문제해결, 보이지 않는 것 보기(지각적인 식별력과 예측), 스토리텔링, 유추적 및 비유적 추론, 사람들의 마음 읽기(의도 전달), 합리적 분석, 팀마인드 (팀의 경험 활용하기)를 검토하여 결정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벙에 대해서 다각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기억에 남는 것 중에 의도 전달에 대한 부분에서 우리가 뭔가를 전달할 때 꽤 완벽하게 전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럴 때 전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이해를 잘못 하는 경우 일이 잘못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분이 굉장히 잘 되어 있다면, 의사 소통및 일처리를 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신속하고 정확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을 향상시키는 내용에 관한 것은 회사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것이다.

또한 멘탈 시뮬레이션과 관련해서, 그러한 사고의 힘을 알 수 있는 부분이 좋았다. 그리고 그러한 사고가 나오는 과정에 대해서 인지함에 따라, 그러한 사고의 효과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에 그를 통해서 멘탈 시뮬레이션 능력을 좀 더 키울 수 있는 방법은 전문가가 되기 위한 일종의 방향을 알려준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힘에 대한 다양한 예들은 이러한 힘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데이터 분석에 의한 의사결정이 강요되는 시대에서, 인간의 힘인 직관에 대해서 좀 더 알고 기를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대해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