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철학이다 - 에이나 외버렝겟의 행복론
에이나 외버렝겟 지음, 손화수 옮김 / 꽃삽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 하나가 필요할 때는 하나만 가져야지, 둘을 갖게 되면 애초의 그 하나마저도 잃는다.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에 있다. 우리가 걱정해야 할 것은 늙음이 아니라 녹스는 삶이다. 인간의 목표는 풍부하게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살 때는 삶에 철저해 그 전부를 살아야 하고, 죽을 때는 죽음에 철저해 그 전부가 죽어야 한다…

이말씀은 법정스님의 유명한 행복에 대한 잠언중 일부이다.

 

행복은 마음먹기 나름이란걸 순간순간 깨닿게 된다. 어쩌면 행복이란 상대적인것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나보다 못한 사람도 얼마던지 있고 몸이나 마음에 에 병이 생겨서 또는 어려운 일을 해결해야되는 중압감으로 고통속에서 힘들어 하는 사람도 많다는 생각을 하게되면 잠시나마 위안을 받게되니 말이다.  순간의 절망감에서 산택을 잘못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최근 자살카페를 통한 ㅈㅂ단자살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먼곳으로 떠나 여행하고 싶지만 이 여행에 소요될 경비가 부족할때면 대신 책을 읽으면 된다. 눅눅하고 춥고 따분한 반지하 셋방에 살지언정 이런 날씨를 잊고 싶을때도 책을 읽으면 다소 위안이 된다. 무언가 새로운것을 배우고 능력을 개발하고 싶을때도 돈이 없음에  고민하지말고 책을 읽으면 된다. 이처럼 행복이란  그것을 얻었을때만 느낄 수 있는것은 아닌것 같다. 책읽기를 좋아 하는 사람은 책으로 위안받을 수 있는 긍정적인 사고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많은 용기를 주는 책이며 행복이라는 삶에 있어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끔 만들어준 고마운 책이라 할 수 있겠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시련을 이겨내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행운과 불행은 경험자의 시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것이다. 행운은 행복과 불행의 근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저자는 행운이 우리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그저 허공애서 우리를 스쳐가는 것이라 할지라도 그 행운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면 행운을 잡을 수 없을뿐더러 행복감을 맛보기도 쉽지않을 것이다. 주변에 있는 수 많은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