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잠수함, 책의 바다에 빠지다 - 책 읽고, 놀고, 대학도 가고, 일석삼조 독서토론기
조원진.김양우 지음 / 삼인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논술준비를 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목소리로 학교를 못 믿는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런 사정뒤에는  교과 진도 나가기도 바뻐  손놓고 있는 공교육의 맹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사교육 의존이 심해졌고 마침내는 지방의 학생들이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해 서울로 '논술 유학'을 오는 현상이 실재 교육현실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고액의 사교육 혜택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해 원하는 대학에 들어간 다섯명의 고등학생들이, 자기들끼리 논술 공부를 해보겠다고 독서토론을 하면서 얻은 경험들을 담고 있다. 주입식 공부, 경쟁 위주의 입시 교육. 제도교육이 다져주지 못하는 것들을 스스로 깨우쳐나가고 정말 공부를 위한 공부를 한 과정을 밝히고 있다.

 

이들의 모임이름이 바로 'yellow submarine'으로 일차적인 목적은 앞으로의 대학입시에 있어 논술과 구술면접에 대비하여, 폭넓은 사고와 다양한 배경 지식을 갖추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책은 '논술 시험에 고득점하기 위한 비법'이나 '상위권 대학에 입학하는 지름길'을 가르쳐주는 책은 결코 아니었다. 그들은 십대의 열정으로 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공부는 '독서'라고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들이 함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며 즐겁고 행복했던 추억을 기록하였다.

 

책은 모두 세부분으로 그 첫번째는 독서토론회의 성격을 띠고 있는 처음모임의 독서토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그들이 토론의 텍스트로삼은 책들중에는 제3의 물결, 슬로 라이프, 오즈의 마법사 등 좋은 책들이 많이 눈에 뜨인다. 그중에서 첫번째로 선정한 제3의 물결은 짧은기간안에 이를 모두 읽고 이해하고 토론까지 하기에는 분량도 너무 많고 내용도 어려워 선정에 실패해다는 솔직함도 읽을 수 있었다. 그런 고백의 내용중에는 이렇게 수준있는 책으로 독서토론을 한다는 자기과시나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독서를 했다는 잘못도 인정하고 있는 솔직함이 돋보이는 글이었다 다음으로  두번째 부분은 2학년이 끝나고 3학년이 되면서 논술 대비를 위한 첨삭 토론으로 방향을 선회하게된 부분에 대해서 마지막 부분은 후기의 성격으로 그동안 노란잠수함을 이끌면서 느낀점들이나 에피소드를 적고 있다. 수능, 논술, 내신등의 삭막한 학창생활에서 벗어나 색다른 경험을 하게된 학생들의 실험정신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려주고 싶다. 고등학교시절의 중요한 시간을 할애해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걸어본 학생들의 탐구정신에도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이들은 이 책이 여전히 입시에 몰두하느라 공부와는 멀어지는 후배들에게 ‘이것이 진짜 공부다’라든지 ‘공부란 이런 것이다’ 하는 어설픈 답보다는 ‘우리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통해 참공부의길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은 모두 대학에 진학했고 그들이 이 모임을 처음 만들때 취지처럼 대학입학후에도 모임을 지속하면서 발자취를 책으로 엮어 내는것이라 했는데  이들의 우정도 오래 지속되어 한단계 레벨업된 훌륭한 독서토론에 대한 output을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