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지 -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리처드 H. 탈러 & 카스 R. 선스타인 지음, 안진환 옮김, 최정규 감수 / 리더스북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저자들은  행동경제학의 발명가와 미국 법률정책의 최고 권위자이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넛지'의 새로운 정의를 통해 '선택 경제학'이라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사람들이 보다 건강하고 자유로운 싦을 영위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도록 '넛지를 가지는 방법'에 대한 길을 제시한다.

편견때문에 실수를 반복하는 사람들에게 부드럽게 간섭해 현명한 선택을 하게하는 여러가지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넛지(nudge)란 ?

 

1.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2.주의를 환기시키다.

3.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저자들은 넛지에 대해 금지도 인센티브도 아닌 사람들의 선택에 부드럽게 간섭하지만 여전히 개인에게 선택의 자유가 열려있는 것이라고 하며 그래서 자유주의적 간섭주의라고도 한다. 강요하지는 않는데도  이 단순하고 온화한 개입인 '넛지'가 얻어내는 결과는 참으로 대단하다

이들의 노력으로 행동경제학을 경제학계에 알리는 데 기여해 왔으며, 의회에도 적극적으로 출석해서 ‘넛지’를 활용한 자신의 방법론을 제도권으로 들여왔다. 그의 이론에 기반한 저축플랜의 설계로 빚더미에 앉은 미국을 구한 경제학자로 평가받는다.

 

넛지란 그 누구도 피해를 보지 않고 훌륭한 결과를 얻어낸것은 똑똑한 선택을 이끌어 낸  내는

선택의 자유가 열려 있는 것이라고. 그래서 '자유주의적 간섭주의'라고도 한다. 우리사회나 조직 그리고 개인은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또한 훌륭한 럿지는 사람들에게 어떤 선택을 금지하거나 그들의 경제적 인센티브를 훼손하지 않고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킨다.

 

이 책은 '행동경제학'이라는 분야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전하고 있는 책이다.  내가 모르고 있던 선택의 순간에는 수많은 '넛지'가 있었고 그 '넛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스로 합리적 선택을 한적이 거의 없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세상을 보는 또다른 방식에 대해 일깨워주고 있어 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경제학이란 어렵다고 지레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오직 '학교에서 가르치는 경제학'과 '경제학자들이 즐겨 내세우는 경제학'만 어려울 뿐이다라는 사실을 확인 시켜 줄 만한 책으로 추천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