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호 아이들은 왜 학교가 좋을까? - 장주식 선생님과 하호분교 아이들이 살아가는 이야기
장주식 지음 / 철수와영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장주식선생님은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하호리에 있는 하호분교 교사이다. 이 학교는 전교생이 서른 아홉 명밖에 되지 않는 미니학교로 저자가 학교에 부임한 2007년 3월 부터 2007년 한 해 동안 아이들과 살아간 이야기를 교육일기의 형식으로 담은 글이다. 많은 분교가 그렇듯 이 학교도 4∼5년 전에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 하지막 학부모들이 폐교가 되는 것을 막아냈다. 그러면서 학부모와 교사의 벽이 없어졌다고 한다.

 

 "공교육 안에서 대안 교육의 길 찾기” 와 “무엇이 진정으로 아이들을 위하는 길인가?”를 고민하며  하호분교 선생님들과 학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하는 새로운 교육 실험에 대한 이야기로 그는 “하호분교의 교육을 알릴 필요가 있을 것 같아 꼼꼼히 기록했다"고 한다.
 

하호에서 하는 체험활동은 모두 모둠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체험활동은 크게 토요체험과 주제별체험으로 나누어진다. 토요체험은 월2회 하며, 내용은 계절에 맞춰서 다양하게 이루어 진다.   봄에 학교 텃밭에 농작물을 심고 가을에 그 수확물을 거둔다. 봄에 꽃이 피면 꽃전을 해먹고, 여름엔 개울에 천렵가기, 겨울엔 눈밭을 걸어 강에 나가기 같은것을 한다. ...주제별 체험은 야영, 도시 체험, 가족 등산, 갯벌 탐사 따위가 있다.(p7)

 

하호학교 학생들은 ‘방과 후 활동’을 열심히 한다. 전교생이 풍물과 음악부, 축구, 종이접기, 북아트, 과학실험, 천연염색부에 참여한다. 두세 명을 빼고는 학원에 가지 않는다.
왜 아이들이 방학때만 되면 우울해 하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렇게 신나는 학교가 있을까도 싶다. 우리세대 교육과는 많이 다름을 느꼈다.  

이 책을 통해 공교육 안에서 성공적으로 대안교육을 도입하고 있는 사례를 만날 수 있었다. 저자는 이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공교육 안에서의 대안교육 역시 가능성이 충분함을 조심스럽게 제안하고 있다.

 본교의 학교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의사결정과 공문을 비롯한 잡무처리가 비교적 적기에 교육활동에 매진할 수 있는 물론 분교라는 특수성이 이런 대안교육형태의 교육도 어느정도 가능하지 않았겠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일반 학교라면 이런 교육형태를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저자의 공교육 안에서 대안 교육의 길 찾기작업은 어느정도는 성공적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할지라도 그 제도가 올바르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제도를 뒷받침해줄 만한 사회적 토대가 마련되어야 하기에 대안학교의 탄생과 성장은 공교육의 변화, 성장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현재의 제도화된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의 길을 찾아 움직임으로서 보다 나은 참교육의 길로 진입하는 것이다. 즉 공교육이 학생들을 수동적이고 획일적인 인간을 양성해 냄으로서 사회적인 문제를 대안학교 법이 생겨나 오히려 공교육과의 차별성만 부각된다든지, 일부 학교의 특혜로 비춰져서는 안 될 것이며, 일반학교에서도 대안학교처럼 교육과정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교육의 개혁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이 책을 읽고 느낀 생각은 방학을 하면 학교를 더 이상 나올 수 없어 우울해 하는 아이들이 있는 학교가 비록 하호분교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 져 우리나라의 모든 학교에서 이런 아이들이 나와주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