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가 -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 클래식 클라우드 24
이연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인생의 거장을 만나는 특별한 여행' 시리즈인

아르테 출판사의 클래식 클라우드를

<드가>로 처음 만나게 되었다.

 

예술을 잘 알지 못하는 나는

미술과 음악에 관한 책을 읽을 때면

항상 설레고 꿈을 꾸는 듯하다.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라는

소제목이 붙은 <드가> 책은

표지부터 시작하여

속지의 그림들과 사진들이

너무 풍부하고 선명해서 기대가 되었다.

 

 

미술사의 판에 박힌 분류 기준 안에서

드가는 뭔가 기이한 모습으로 부유하는 존재이다.

 

앞선 세대의 예술가들처럼 인물과 장면을

실감 나게 그리는 타입도 아니었고,

뒤따르는 세대의 예술가들처럼

전복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은 사람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의 그림은 매혹적이었다.

 

인상주의 예술가들이 풍경을 주된 주제로 삼고,

폴 고갱이나 빈센트 반 고흐도

도시에서 벗어나 전원이나

심지어 먼 이국으로 가서 예술의 주제를 찾고,

원초적이 그리움,

과거로의 회귀 본능을 자극하는 것을

예술의 절대적인 주제인 것처럼 여기게 되었다.

 

하지만 드가는 달랐다.

 

사람과 현실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노동하는 여성을 그렸고,

공연하는 사람을 그렸다.

 

인공조명을 받으며 움직이는

발레리나와 가수를 그렸다.

 

그는 인상주의에 속했지만,

풍경이 아니라 인물을 그렸다.

 

드가가 그림에 담은 파리는

보는 이와 함께 움직이며 명멸한다.

 

드가는 어떤 점에서는 귀족적이었고

또 어떤 점에서는 부르주아였다.

 

경제적으로 아쉬울 것 없이 자라서인지

계급적인 상승 욕구가 별로 없었고

초연한 분위기가 있었다.

 

후에 모네나 르누아르 같은 이들이

관립 전시회, 즉 살롱에 열심히 출품하면서

제도권에서 인정을 받으려 했던 것과는

다른 결이었다.

 

드가는 당시 프랑스의 예술가 지망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이탈리아로 갔다.

 

1856년 7월 1일 나폴리에 도착했다.

 

이탈리아에서 드가는

오래도록 마음을 나눌 예술가들을 만났다.

 

그중 한 사람이 모로로,

두 사람은 박물관과 성당 등을 돌아다니며

작업을 하거나 서로의 모습을 그려주기도 했다.

 

모로의 그림 속 인물들은

고대 그리스, 비잔틴, 혹은 중세 유럽

어디인지 싶은 기이한 공간 속을 떠돈다.

 

드가는 모로를 통해 분방하고

화려한 색채를 접했다.

 

1859년 파리로 돌아온 드가와 모로

두 사람은 몇 년 지나서 서로 소원해졌다.

 

드가는 모로를 떠나 다른 선배를 찾았다.

 

드가는 열여덟 살 때부터

루브르에 드나들며 고전 작품들을 모사했다.

 

드가가 루브르에서 거둔 가장 큰 성과는

마네와의 만남이었다.

 

마네가 아니었더라면 지금의

우리가 떠올리는 드가는 없었다.

 

실제로 드가는 마네의 영향을 받은 뒤로

역사 화가 아닌 일상적인 주제를

그리기 시작했다.

 

마네와 드가,

이 두 사람이 19세기 회화에서

화면 속의 인물을 가장 '잘 자르는'

이들이었다는 점도 역설적이다.

 

마네는 마지 자신이 이렇게나

아무렇게 그린다는 걸

과시하려는 것처럼 잘랐다.

 

드가는 신중하고 주의 깊게 잘랐다.

섬세하고 아름답게.

 

인상주의 전시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드가는 비로소 마네로부터 독립했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인상주의는

그 유파에 대한 조롱을

이름으로 삼은 첫 번째 예이다.

 

나중에 야수주의와 입체주의가 그 뒤를 이었다.

 

첫 번째 인상주의 전시회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비평가 루이 르루아는 <르 샤리바리>에 실은 평문에서

모네의 <인상, 해돋이>를 가리키며,

"나는 이 작품에서 인상을 받기는 했다.

대체 무엇을 그린 것일까?

벽지라도 이 그림보다는 낫다."라고 했다.

 

이 글에서 '인상주의'라는 명칭이 생겼다.

 

인상주의 그룹이 독립성을 지키며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결성 당시의 입장을 관철한 드가 덕분이었다.

 

미국인들은 프랑스인들처럼

인상주의 회화를 조롱하는 대신에

찬사를 보내며 사들였다.

 

인상주의의 명성은 역수입되었고,

프랑스 대중은 이 새로운 사조를 받아들였다.

 

센 강 맞은편의 오르세 미술관은

인상주의 미술의 패권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오르세 미술관에서는 드가가

얼마나 뛰어난 예술가인지 실감할 수 있다.

 

어쩌면 예술의 목적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스스로는 냉담하면서 사람들을 꿈꾸게 하는 것.

 

플라뇌르란 경제적으로 넉넉해서 유유자적하게

대도시를 돌아다니는 사람을 뜻한다.

 

플라뇌르는 도시의 군중을 광활한 사막처럼 여기며,

그 사막을 배회하는 자신의 고독을 만끽한다.

 

드가야말로 진정한 플라뇌르였다.

 

드가는 산업화와 함께 성장한 거대 도시의 모습,

도시 속의 사람들, 도시가 낳은 유흥과 구경거리를 그렸다.

 

카페에서 플라뇌르들은 다리를 쉬고,

몽상에 잠기고, 신문이나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안면이 있는 사람과 만나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상주의 예술가들은

카페 게르부아에 모여 앉아 이야기했다.

 

루브르에 가서 걸작들을 본 뒤 카페로 가

과거와 당대의 예술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러면서 사유가 촘촘해지고 신념이 단단해졌다.

 

해가 지면 그는 카페 콩세르에 갔다.

 

드가가 즐겨 갔던 카페 앙바사되르에는

정원에 천막과 가스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곳을 배경으로 그는 <개의 노래>를 그렸다.

 

파리의 카페를 그린 드가의 그림으로는

<압생트를 마시는 사람>이 단연 유명하다.

 

몇몇 예술가는 오랫동안 천착한 주제와 함께 거론되곤 한다.

 

모네는 수련이고, 드가는 경마와 발레다.

 

19세기 초 화가들은 말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없었다.

 

드가가 그린 경주마들은

서 있거나 천천히 걷거나 서성거리는

대개는 경주가 시작되기를 기다리는 모습들이다.

 

그 결과 그는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는 화면을 만들어냈다.

 

드가는 무대 위에 선 사람과

이를 바라보는 사람 사이에

생겨나는 미묘한 분위기에 주목했다.

 

19세기 발레리나들의 처지는 좋지 못했다.

 

대부분 노동자계급 출신이었던 그녀들은

일곱 살이나 여덟 살 때부터 훈련을 받았다.

 

열 살 무렵에 재능에 따라 한차례 걸러졌고

한 해에 한 번 혹은 두 번씩

수준을 평가하는 시험을 치른 뒤

그 결과에 따라 급여가 결정되었다.

 

급여가 많지 않았을뿐더러

밝은 미래도 기대할 수 없었다.

 

<분장실의 발레리나>를 보면

후원가로 보이는 이 남성은

다른 사람들의 눈을 피할 생각 같은 것은 하지 않고

대기실뿐 아니라 무대 앞뒤로 드나들었을 것이다.

 

드가의 일상은 1874년 2월에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아버지는 큰 빚을 남겨놓고,

드가의 동생 르네가 운영하던

면화 유통 업체도 파산했다.

 

어쨌든 그의 발레 그림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은 점차 과거의 일이 되었다.

 

많은 예술가가 나이 들면서 편안하고 자유로워진다.

 

드가가 30대에 만든 작품들은

꽉 짜인 구도에 밀도가 높은 것들이었지만

40대로 접어들면서 조금씩 경쾌해졌다.

 

50대의 드가는 우울했고

예순 살을 넘긴 무렵부터는 자유분방함을 넘어

흐트러졌으며 점점 지리멸렬해졌다.

 

드가는 30대 중반에

이미 오른쪽 눈이 거의 보이지 않았고,

50대가 된 그는 "다 집어치우고 이대로

잠들어버렸으면 좋겠다"라며 낙담했고,

60대에는 시각장애인이 된다는 건

화가에게 사형선고이며

자신의 처지가 송장과 다름없다고 절망했다.

 

70대에 접어들 무렵에는

사물의 윤곽과 색채만 흐릿하게 볼 수 있었다.

 

중년부터 노년에 걸쳐 그가 토로한

우울한 감정의 바탕에는 눈 문제가 깔려 있었다.

노년의 드가는 파리를 배회했다.

 

오로지 돌아다니는 존재인 플라뇌르가

드가의 마지막 정체성이었다.

 

드가가 일흔여덟 살이었던 1912년에

그가 그때까지 살던 빅토르마세 거리의 아파트가

철거 대상에 오르면서 이사를 해야 했다.

 

그는 이후로는 더 이상 작업하지 않았고,

1917년 9월 27일에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인상주의 화가 하면 고흐와 고갱을 떠올리는데,

인상주의를 끝까지 고집하고 지켰던 화가가

바로 드가였음을 알게 되었다.

 

발레리나 그림으로만 알고 있었던 드가가

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그림을 그리기보다는

직업인 발레리나로서의 고됨과 노동자로서의 삶을

그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세기 파리 시민들의 평범한 일상 속을 파고든

파리의 관찰자인 예술가 드가의

일생에 대해 알게 되어 즐거웠다.

 

'플라뇌르' , 이 단어가 바로 드가이다.

 

 

* 지원 도서를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