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사피엔스 - 현실이 된 가상을 살아가는 메타버스의 신인류
송민우.안준식.CHUYO 지음 / 파지트 / 2021년 12월
평점 :
미래과학소설에서 상상하고, 영화에서나 볼 법한 세상을 만날 수 있는 가상현실에 대한 이야기다. 3D 영상 매체와 VR을 통해 가상현실 세계를 간접 경험하기 시작한 것은 영화, 게임 산업 분야이다. 흔히 알고 있는 제페토, 로블록스 등은 메타버스와 상당히 거리가 멀다. 저자가 말하는 가상현실은 '현실'에 초점을 맞춰 그 공간에서 삶이 형성되어야 한다. 일시적 오락에 불과하고 스스로 '가상'에 대한 체험적 시공간으로서 인식은 근본적인 구분을 필요로 한다. 현재 메타버스에 대한 기술은 영화 속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매끄럽고 예술적이지 않지만 상당 부분 성과를 자랑한다.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가상 사회가 현실 속에서 필요한 이유, 앞으로 우리 사회가 변화될 부분과 영향 등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는 이야기다.
가상 현실에 대한 기술은 현재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아직 발달 단계 중인 기술의 한계적 측면이 있는데 다른 분야의 기술이 기업과 경제적 논리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과 사뭇 다르다. 창작자와 소비자가 수평적으로 만나 발전된 기술을 개방적으로 공유한다. 소비자 역시 전문성을 스스로 습득하여 가상 현실 속 공간을 확장하고 활동 영역이나 관계도 넓혀 간다. 과거 현실 도피라고 생각했던 이들의 가상 현실에 소비는 또다른 삶의 영역으로 느껴진다.
젊은 세대의 두 저자가 경험하고 예측하는 문화의 변화는 소비자가 단순 소비가 아닌 생산자로 이어지는 것이다. 기성 사회, 즉 현실에서는 계급처럼 구조화된 경제 구조가 뛰어넘을 수 없던 한계가 존재한다. 가상 현실에서는 기술, 정보 등이 누구에게나 개방적으로 공개되고 접근이 가능하면서 소비자가 이를 축적하고 다시 생산자가 된다. 현실과 판이하게 다른 점은 가상 현실을 움직이는 가상 존재들이 현실의 미적 기준과 전혀 다르다. 기존 관념으로 접근할 수 없는 신세계인 것이다.
#메타사피엔스_에서 예측하는 사회 변화 중 가장 주목했던 부분은 현실 문화와 가상 현실 사회의 비교였다. 현실 사회에서 중요시 여기는 상품의 경제적 가치가 가상 현실에서는 전혀 중요치 않게 된다. 정보와 교통 수단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현실과 달리 가상 현실에서는 경계가 없기에 국경의 의미도 희석될 것이다.현실에서는 옷차림, 연령, 직위 등을 가늠하는 것으로 경직된 관계가 이뤄진다. 메타버스 안에 가상 존재가 반드시 보편적 아바타 형태인 것은 아니므로 관계의 수직성이 해체된다. 현실에서는 분류하고 영역화하여 계층으로 사람을 마주한다면, 국경과 경직성이 상실된 가상 현실 속 관계는 '특정 그들'로 분류하기보다 '그 사람'으로서 만나게 될 것이다.
인간 감각의 한계를 극복한 세계, 눈에 보이는 손과 발이 가상과 현실 안에서 구분되지 않는 세계, 시간과 계절의 변화가 무의미한 세계 등 가상 현실이 제공하는 모습 중 일부이다. 이 기술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분명 사회에 영향을 끼치고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미리 경험한 두 저자의 생각과 예측을 통해 미래 사회를 가늠한다. 발을 들여놓았지만 미지의 세계이다. 인류가 시공간 속에 그린 역사 안에는 변곡점이 있었다. 이제 '현실'이라고 불리는 자체도 새롭게 정의되어질 수 있다. 열린 마음으로 보고 듣는다면 #메타버스 이슈에 대한 한 단계 더 진지해진 이야기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 파지트 서포터즈로서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바탕으로 작성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도서협찬 #메타버스 #책 #메타버스책 #메타사피엔스 #베스트셀러 #서포터즈 #서평 #파지트 #가상현실 #로블록스 #송민우 #안준식 #버츄얼마켓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