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추럴 와인은 귀여워 - 그림 작가 마리아의 좋아하다 보니 빠져든 와인 이야기
이마리아 지음 / 샘터사 / 2023년 11월
평점 :
#내추럴와인은귀여워 @isamtoh
음주에 강한 편은 아니라서 사람들을 만나서 마시는 주류 선택에 있어서 주체적이지 않다. 모인 자리에 놓은 주류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수동적이고 약간 적극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편한 사람들과 긴 이야기를 나눌 때 와인을 곁들이면 속도를 내지 않아도 되고, 많은 양을 마시지 않는 것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다. 와인을 마시는 공간과 곁들이는 음식이 갖는 힘인가 싶다. 와인바에서 마시는 비용을 고려할 때, 다른 주류에 비해 저렴하지 않고 혹은 식사에 곁들일 때도 천천히 개별적인 식사을 겸하기 때문인 듯 하다. 가정에서도 파스타, 스테이크 종류를 식사로 준비할 때 음료를 대신하여 곁들인다. 왠지 해박한 지식이 필요할 것 같은 어려운 와인이었지만 이제 편의점을 비롯해 가까운 마트, 와인샵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와인샵에서 병이 예뻐서 선물용으로 처음 접했던 #내추럴와인_에 대한 이야기라서 #이마리아 작가의 #내추럴와인_이 궁금하다. 그림 작가이기에 간단 명료한 그림으로 설명을 대신하여 쉽고 빠르게 와인을 이해한다. 와인 초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와인 관련 용어를 설명하고 본인이 접하였던 와인을 종류와 취향별로 정리하였다. 익숙한 것만 찾을 뿐 새로운 것을 접하기란 쉽지 않을 때, 첫 발을 딛기 좋은 다리 역할을 하는 친절한 와인 이드이다. 귀여운 참생이와 팁시마가 와인 생산지, 브랜드, 맛의 향연을 펼쳐준다.
읽는 책만큼 읽지 못한 책이 쌓여 있는데, 그럼에도 오늘도 책을 구입한다. 소셜에서 회자되고 있어서, 책 표지가 예뻐서, 제목이 강렬해서, 애정하는 작가 등 다양한 이유로 구입한다. 와인 구매자 역시 특정한 맛을 애정하고 라벨이 예뻐서 라든지 다양한 이유로 구입한다. 기업화된 컨베셔널 와인과 달리 개인이나 소규모에 의해 개성있게 작업된 와인이 내추럴이다. 규격화된 기준, 방법에 따라서 만들어진 컨베셔널은 흔히 주류 뒤에 몇 퍼센트의 첨가물이나 화학물이 섞였는지 표기한다. 이에 비해 내추럴은 일관된 규정보다는 작업자의 농장 환경이나 가치관에 따라서 다 다르다. 일단 내추럴 이름에서 느껴지듯 대부분 첨가물이나 화학물을 넣지 않고, 친환경 양조공법을 대다수 사용하기에 부유물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많아 탁해보이기도 한다. 맛만큼 라벨 등에서도 차별성을 갖고 개성을 드러낸다
■ 내추럴 생산자는 포도가 자라는 밭 자체의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화학 비료나 살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법 또는 비오디나미 농법으로 재배한다. (그래서 포도나무 사이에 꽃과 풀이 자라고 와이너리에 동물들이 사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와인에서 그 밭의 맛이 날 때가 있는 걸까? ...중략... 내추럴 와인은 농사부터 양조까지 사람의 손을 많이 타기에 컨벤셔널 와인에 비해 대량 생산이 어렵다. (91쪽)
와인이 대량 수입되면서 가격도 저렴해지고 대중화되었다. 좀 더 넓어진 와인의 세계에 대해서 순수한 재미를 더해 읽기 좋다. 1장의 와인 경험기를 지나 2장의 와인 시음 노트는 자신만의 스트리밍 음원 소개 같은 글이다. 다른 이의 글을 통해 자신의 경험 선택지를 넓혀갈 수 있다. 3장에서는 와인을 통해 만나는 사람, 예술을 넓혀 가는 작가의 이야기다. 담백하고 소박하지만 맛있게 읽어지는 이야기다.
◆ 물방울서평단으로서 샘터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바탕으로 작성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도서협찬 #내추럴와인은귀여워 #내추럴와인 #와인 #샘터 #샘터사 #그림작가이마리아 #참생이 #팁시마 #컨베셔널와인 #와인고르기 #와인상식 #와인에세이 #와인그림에세이 #와인빈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