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김훈하얼빈 #김훈장편소설 #하얼빈안중근 #안중근의사 #이토히로부미 #독립운동 #문학동네 #안중근생애 #안중근재판 #청춘안중근
역사를 배우고 가르치면서 지금과 가까운 시대의 아픔을 보고 듣는 것은 정말 가슴 아프고 힘든 일 중 하나입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민중의 삶을 읽어 내려갈 때는 가슴에 뜨거운 것이 얹어져 그 불길을 식힐 수 없을 때가 많습니다. #하얼빈 책을 사두고도 손을 쉽게 대지 못했는데, 연휴 기간 첫 장을 넘겼습니다. 문장마다 비장하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이어서 그런지, 작가님의 문장에서 #인간안중근 자체가 느껴져서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읽는 사람마다 다를테지만 #하얼빈 속 이토는 이토의 목소리로, #안중근 의사는 안중근의 목소리로 읽어졌습니다. 슬픔에 매여서 구구절절 감정을 토해내는 문장이나 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땅이 가졌던 아픔의 역사가 담담히 그려지고, 담담히 역사의 길을 걸어 나아가는 시간이 그려져 있습니다.
역사의 한 컷으로만 바라보던 #하얼빈 에서의 #이토히로부미 사살은 #김훈 작가님의 소설에서 입체적으로 살아났습니다. 이토의 죽음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바라보는 시선이나 일본 제국주의가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각도로 움직이는 모습 등 건조한 역사적 사실에서 우리가 부여한 역사적 의미 이상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이토 히로부미
□ 이토는 조선 사대부들의 자결이 아닌 무지렁이 백성들의 저항에 경악했다. 왕권이 이미 무너지고 사대부들이 국권을 넘겼는데도, 조선의 면면촌촌에서 백성들은 일어서고 또 일어섰다.
본문 18쪽 중에서
□ -시찰 일정에 학교 방문을 여러 건 넣어라. 학동들에게 줄 선물도 넉넉히 준비하라. 학용품과 먹을 것을 두루 갖추어라. 평화의 실상을 보여라. 내가 학동들의 머리를 쓰다듬어주겠다. 메이지 폐하께서도 전국 순행중에 여러 학교를 몸소 방문하시었다.
본문 109쪽 중에서
■ 순종
□ -세상의 땅과 물을 건너가는 길도 있지만, 조선에는 고래古來로 내려오는 길이 있소. 충절과 법도와 인륜의 길이오.
본문 40쪽 중에서
■우덕순
□ - 나는 달아날 생각이 없으므로 그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나는 쏘기만 하면 된다. 근접할 수 없다면 이토의 열차를 쏘겠다.
본문 117쪽 중에서
■ 안중근
□ -우리는 강토를 모두 잃고 어디로 가려는가. 이번에 한 번 싸워서는 성공하지 못한다. 이것은 분명하다. 우리는 승패와 유불리를 돌아보지 말고 싸워야 한다.
본문 91쪽 중에서
□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토를 죽여야 한다는 생각은 내내 분명하지 않았다. 이토를 죽여야 한다는 생각은 자각 증세가 없는 오래된 암처럼 마음속에 응어리져 있었는데, 만월대의 사진을 보는 순간 암의 응어리가 폭발해서 빛을 뿜어내는 것 같았다. 안중근은 몸을 떨었다.
본문 97쪽 중에서
□ 안중근은 다시 조준했다. 안중근은 고요히 집중했다. 손바닥에 총의 반동이 가득찰 때 안중근은 총알이 총구를 떠난 것을 알았다. 이토 주변에 서 있던 일본인 세 명이 비틀거리며 쓰려졌다. 러시아 헌병들이 안중근을 몸으로 덮쳤다. 안중근은 외쳤다.
-코레아 후라
본문 167쪽 중에서
□ -나의 목적은 동양 평화이다. 무릇 세상에는 작은 벌레라도 자신의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도모하지 않는 것은 없다. 인가 된 자는 이것을 위해서는 진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토는 통감으로 한국에 온 이해 태황제를 폐위시키고 현 황제를 자기 부하처럼 부렸다. 또 타국민을 죽이는 것을 영웅으로 알고 한국의 평화를 어지럽히고 십수만 한국 인민을 파리 죽이듯이 죽였다. 이토, 이자는 영웅이 아니다. 기회를 기다려 없애 버리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하얼빈에서 기회를 얻었으므로 죽였다.
본문 236-237쪽 중에서
□ 아침에 옥리들이 감방에 새 옷을 넣어주었다. 안중근은 집행 절차가 시작되었음을 알았다. 고향에서 어머니가 보내온 명주 두루마기와 바지가 개어져 있었다. 두루마기는 흰색이고 바지는 검은색이었다. 안중근은 새 옷으로 갈아입었다. 흰 두루마기 아래로 검은 바지 자락이 드러났다. 명주 두루마기는 부드럽고 포근했다. 새 옷의 향기가 몸에 스몄다.
본문 276쪽 중에서
문장이 간결하고 부서지는 감정의 묘사가 없어서 문단을 읽고 나면 잠시 호흡을 했습니다. 재판장에서 담담하게 답변하는 #안중근 의사의 말을 길게 읽어 내려가는 듯 하여 숨을 고르고 잠시 호흡하는 시간을 가지며 읽었습니다.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기어이 일본은 우리나라를 삼키었으며 오랜 시간을 걸쳐서 우리는 투쟁해야 했지만 결국 나라를 되찾았지요. 그 아픔이 있는 #하얼빈
■ 김훈 작가님
안중근의 빛나는 청춘을 소설로 써보려는 것은 내 고단한 청춘의 소망이었다. (…)
나는 안중근의 '대의'보다도,
실탄 일곱 발과 여비 백 루블을 지니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얼빈으로 향하는
그의 가난과 청춘과 그의 살아 있는 몸에 관하여 말하려 했다.
작가의 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