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 컬렉션 박스세트 (5disc)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 말론 브란도 외 출연 / 파라마운트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소장욕을 채워주는 명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드 씨의 비밀노트 - 단 한 명의 부하라도 있다면 꼭 읽어야 할
윌리엄 바이햄 외 지음, 송연석 외 옮김 / 페가수스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전을 보니 zapp이란 단어는 없는데, zap이란 단어는 있더군요.
zap이란 뜻은 번개치는 듯한 충격이란 뜻과 속어로는 와~ 하는 가탐의 뜻이 있더군요
sap이란 뜻은 남을 곤봉으로 친다는 뜻이군요

종합해보면, zap과 sap은 충격이란 것은 같지만, 하나는 긍정적이고 하나는 부정적인 것으로
동전의 양면같은 충격을 긍정적으로 쓰자는 의미인 듯 ^*^
요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앤서니 라빈스 전집 - 전4권
앤서니 라빈스 지음, 조진형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자기계발서는 워낙 많고 역사도 유구하지만, 단연 돋보이는 저자중의 한사람이 바로 앤서니 라빈스다. 사실 전부터 낱권으로 하나씩 사모았는데, 다 사고 나니까 전집이 덜컥 나오니 좀 허탈한 느낌도 든다. 앤서니 라빈스의 4권 저서중 굳이 한권을 선택하라 한다면, 무한능력을 권하겠다. 내가 보기에는 가장 방법론 중심으로 편집되었다 평가한다. 자기계발서와 secret류(이런 분류방식이 타당할진 확신치 못하지만)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시작점을 어디에 두느냐의 문제다. 자기 안에서 출발하는 것이 앤서니 라빈스의 책이라면, 자기 밖의 어떤 원리나 법칙의 확신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시크릿이다. 그런데, 시작점에 관계없이 밖과 안이 만나는 점이 성공이란 면에선 같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어한글역주 세트 - 전3권 - 동방고전한글역주대전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의 고전중 주역을 제외한다면, 아마도 논어와 노자가 가장 보편적으로 읽힌 고전일 것이다. 

전에 도올논어란 책이 있었는데, 이번에 완역본이 나왔다. 
도올이란 사람에 대해서 왈가왈부하지 말고 평심하게 이 책을 평가해보자.

일단 편집이 대체로 괜찮다. 읽기 쉽게 글자도 너무 작지는 않게 잘 되었다.
오래 보관하기에도 괜찮다.

이제, 가장 중요한 번역을 보자.

일단 준수한 평점을 줄 수 있다.
논어를 현재의 구어체에 가깝게 이해하게 번역을 했다.
단, 번역투에서 도올 특유의 어투가 느껴진다. 이는 호불호의 문제인 듯.

번역의 질은 사실 비교가 어려운 것이, 우리나라의 논어번역서가 부족하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대체로, 주자집주를 근거로 하는데 이 주자집주를 완역한 책도 얼마 되지 않는다.
주자집주를 완역한 책은 서점에서 구할 수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라 해야지만,
논어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얻기에 사실 무리다.)

번역을 하면서, 의상에 대해서 엄밀하게 고증한 것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
(특히 향당편에서 두드러진다.)

그런데, 주자집주를 다 번역하다가 중간이후 번역을 생략하는 것은 좀 성의없게 느껴지긴 한다. 

도올은 공자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상을 갖고 있는 듯 한데, 일관되게 이 책에서 흐르는 것은
공자가 탁월한 음악감을 가진 예술가란 것이다.

이 탁월한 째즈 아티스트의 놀라운 균형감각이 공자의 인간성속에 흐르며, 이것이 공자를
탁월한 휴머니스트로, 또 놀라운 판단력의 바탕을 이룬다.

사실, 이 것이 도올이 그려내는 궁극의 공자상이나 마찬가지다.
이 문제의 판단은 각자의 판단에 맡기지만, 나 개인의 사견으론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제1권의 장황한 인류문명전관, 논어의 서막, 논어해석사강은 이 것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내용으로 읽어도 좋을 것이다.

사실 이런 긴 서설을 도올이 늘어놓는 것은 하나의 복선이다.
즉, 추축시대의 성자들의 격을 한 번 문명사의 흐름속에서 평가를 하기위한 초석인 셈이다.

(도올은 요한복음강해를 할때와는 또 완전히 틀린 분위기이다.)

그 이후 이어지는 해석에선 서지학적인 문제를 다루는데, 사실 이런 것은 사소한 문제가 아닌데
우리들이 흔히 넘어가는 문제이다. 서지학을 고려하지 않고 경학을 한다는 것은 도무지 어불성설이다.

자, 이제 총평을 마무리 하자.

주자가 그린 공자는 도학의 이상형으로서의 완전무결한 성인이었고,
도올이 깨달은 공자는 탁월한 째즈 아티스트이며 항상 현장에서 배우는 호학자였다.

어차피 그 누구도 공자를 직접 못 보았으니 그 누구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말은 그 사람의 인격이다.

내가 이 리뷰를 읽는 분들께 한가지 당부드리는 것은, 논어를 읽으면서 "아, 이래서 공자가 공자이구나!"하고 감탄하는 한 구절을 얻어야 책이 비로소 책구실을 한다는 사실이다.

p.s 주자의 권학문으로 알려진 "소년이로학난성~"의 우성시가 일본 임제종의 선승으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은 나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마치 유명한 모차르트 자장가가 모차르트 작이 아닌 것 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록키 1 - [할인행사]
존 아빌드슨 감독, 실베스타 스탤론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사실 록키시리즈에서 이 1편이 제일 서민스럽다고 난 생각한다.

지금 추운 겨울, 살기 힘든 때에 문득 록키를 보면서, 나 자신을 되돌아본다.

록키는 이기기위해서 링에 오른게 아니라, 15회를 버티기 위해 링에 올랐다.
결국 이기지 못했다(물론 2편에선 챔피언이 되지만.,,)

자신의 삶속에서 무엇인가를 이루기위한 원초적인 몸부림!

이것이 내가 이 디비디 타이틀을 산 이유다.

cf. 록키시리즈 합본이 절판되어 무척 아깝긴하지만, 록키시리즈의 진수는 이 1편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