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하는 작품들의 모음 - 정지돈 첫 번째 연작소설집
정지돈 지음 / 작가정신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다 보면 운명처럼 다가오는 것들이 있다. 누군가는 로맨틱 패이탈리즘으로 치부해 버릴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그 운명을 느낀 사람에게는 진짜로 운명이 된다

 

계량경제 연구실에서 짧게나마 공부하며 깨달은 것은, 내가 보는 데이터들이란 결국 연속적이고 무한한 우주에서 불연속적이고 유한한 값으로 실현되고 측정된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나는 한동안 이런 시각이 단지 계량경제학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사실 우주와 인간의 관계가 본래 그렇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연속적이고 무한한 우주공간에서 인간의 존재는 존재 자체로 불연속과 유한성을 상징한다. 인간의 내재적 불연속성과 유한성은 인간의 지각과 행동 역시 모두 이산적이고 유한한 것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한계로 작용한다. 인간이 숫자로 세상을 분별하고 제도로 사회를 창조하려 하지만 모두 그럴듯한 근사치일뿐, 그 어느 것도 본연의 우주에 닿지 못한다

 

그러나 만약 인간의 의식이 깃들지 않은 세계라면 어떨까. 무의식의 공간이라면 아마 연속적일 수도 있고 무한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런 맥락에서 산책이라는 행위는, 목적의식에 지배되지 않은 유일한 인간의 행위로서 마침내 무한한 확장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루소, 키르케고르, 버지니아 울프, 보들레르, 발터 벤야민 같은 사람들은 저마다 분야는 조금씩 다를지라도 모두 보행과 산책의 특이성을 눈치챈 사람들이다. 현대에 와서는 제인 제이콥스와 리베카 솔닛을 빼놓을 수 없을 테고, 내게 있어서는 정지돈 역시 그 사람들과 같은 길에 서있다

 

단지 내 미래가 막연해서 걸었던 서울과 런던의 거리들에서 나는 느리지만 분명하게 이 사람들의 자취를 찾을 수 있었고, 꼭 운명처럼 느껴지는 산책자로서의 내 정체성을 엿보게 됐다. 내가 산책자였기 때문에 걸었던 것일까 아니면 걸었기 때문에 산책자가 된 것일까

 

<당신을 위한 것이나 당신의 것이 아닌>은 산책자 정지돈 작가가 산책과 보행을 정면으로 다룬 첫 번째 산문집이다. 그런 그가 이번엔 <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한 작품들의 모음>이라는, 누가 보면 잔나비처럼 힙해 보이고 싶어서 무리수를 던진 게 아닐까 싶은그런 제목의 연작 소설집을 냈다

 

주제의식은 전작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보행’보다 더 넓은 개념인 ‘이동’으로 확장된 느낌이랄까. 그러나 산문집에서 연작 소설집으로의 장르적 변화, 장르적 이동은 필연적으로 다른 체험을 불러온다. 작가는, 그리고 또 우리 독자들은 이 이동에서 각자 어떤 체험을 하게 될까. 굳이 보행이니 이동이니 하는 것들은 신경 쓰지 않아도 좋다. 그냥 책을 읽다 보면 정지돈 특유의 유머에 피식거리고 있을 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 전2권 - 규슈+아스카, 나라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저자가 이번 일본편을 써내면서 가장 강조했던 부분은 바로 한국과 일본의 서로에 대한 이해부족이다. 분명 한국과 일본 두 나라는 세계 속에서도 다양한 부분에서 최고로 손꼽힐 만큼 그 역량을 인정받는 국가다. 하지만 두 나라는 지난날의 역사 때문에 서로를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특히나 한국에서는 식민지배라는 처참하고 가슴 아픈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 대해서는 굉장히 민감한 태도를 보인다. 조금이라도 일본에 대해 좋은 평가가 나오면 일단 비난부터 나오는 경우가 많고 어떻게든 평가절하하려는 태도마저 보인다. 이런 현상은 일본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들은 비록 과거에 침략자의 입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해 좋지만은 못한 감정을 지닌 경우가 많다. 


 다행히도 최근에 들어서는 양국의 젊은이들이 미래지향적인 태도로 서로의 문화를 체험하는 데 스스럼이 없고 교류를 늘려가는 분위기에 있다지만 그러한 현상이 과연 역사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반성에 기초해있는지는 의문이다. 개인적인 고백을 해보자면 나는 여전히 일본에 대해 무관심하면서도 근대사의 비극만을 떠올리면서 그네들의 문화를 인정하지 않고 얕보려고만 해왔다. 만약 한일간 문화교류에 적극적이라는 사람들 중에 나 같은 젊은이들이 많다면 아무리 문화 교류가 잦아진다 한들 그것은 언제든 무너져 내릴 수 있는 사상누각에 다름 아닐 것이다. 실제로 요 근래 일본 정치권에서 연이어 쏟아져 나오는 역사적 망언들은 그간의 한일교류는 과연 무엇이었나 라는 회의감마저 들게 한다. 그리고 그런 이유에서 나는 이번 일본편에 대한 기대가 굉장히 크다


 일단 나 스스로도 이번 답사기를 읽으면서 하나의 껍데기를 깨고 나온 기분을 느꼈다. 일본에 대해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조차 하지 않던 내가 답사기를 읽으며 일본 지도를 들여다 보고 여러 도시들의 역사와 인물들을 알아가면서 일본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일본 문화는 한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이라면서 은연중에 그들의 문화를 얕보던 나 자신을 반성하며 일본 사람들이 이룩해낸 독자적이고 개성 있는 문화에 대해 깨닫고 인정하게 됐다는 것이다. 아마 한국에는 나와 같은 사람이 매우 많을 것이고 그래서 이번 답사기는 그들의 생각을 깨우는데 큰 역할을 할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일본어로도 번역되어 출판될 이번 답사기가 저자의 바람대로 일본사람들에게도 그런 역할을 해주어 한일 양국간 깊은 갈등의 골을 메우는 데에 큰 기여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누구보다도 객관적이고 큰 틀에서 양국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또 두 나라의 문화에 대해 마음깊이 감복하고 경탄해 마지 않던 저자의 진심은, 그것이 아무리 민감한 한일관계라 할지라도 분명히 모두에게 통할만한 것이다. 만약 그것이 외면 받거나 비난 받는다면 그것은 아마 우리가 아직 스스로를 돌아보지 못하고 남을 인정하지 못하는 미성숙된 지성의 시대에 산다는 방증일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7-30 13:19   URL
비밀 댓글입니다.